인천•경기 재난본부, 산사태 경보 발령 사실 파악도 못해

▲ 산림청 홈페이지에 등록된 인천 서구지역 산사태 위험 예보 현황
지난 6일 중부지방에 집중호우가 내린 가운데 산사태 위험예보 시스템에 구멍이 뚫렸던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 경기 지역에 산사태 경보가 발령됐지만 이 같은 사실을 지역 재난안전대책본부가 파악조차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인천지역에 호우경보가 발령됐던 6일 새벽 3시. 인천과 경기, 서울 지역에 산사태 위험예보가 발령됐다. 지난해 산사태로 18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우면산이 있는 서울 서초구에서는 주민 650명에게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등 긴급 조치가 이뤄졌다.

이후 오전 8시에는 인천 서구 원창동에 산사태 위험 경보가 발령됐다. 같은 시각, 서구의 다른 9개 동에도 산사태 주의보가 발령됐다.

이 같은 예보 발령 사실은 소방방재청의 ‘7.5~6일 호우 대처상황 보고’에도 적시돼 있다. 하지만 인천 재난안전본부대책본부에 산사태 예보가 발령된 사실을 확인하자 상황실의 한 관계자는 “산사태 관련 예보가 발령된 사실을 몰랐다”고 답했다.

지역 재난상황을 총괄하고 안전 대책을 세워야 하는 중추 기관이 예보 사실을 자체를 인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 다른 상황실 당직 관계자에게도 같은 문의를 했지만 예보 발령 사실을 역시 모르고 있었다.

이 관계자는 “산사태 예보 발령을 떠나서 관계 공무원이 비상근무를 돌입한 상태로, 산사태 위험 지역에 대한 예찰 활동 강화와 주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어느 지역에 산사태 위험 예보가 발령됐는 지 아느냐는 질문에는 “지금 담당자가 자리를 비워 사실 파악이 바로 안된다”고 말했다.

경기도 지역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오전 10시에 발표한 소방방재청의 상황보고에는 경기도 광주 등 11개 지역에 산사태 주의보가 발령됐지만 경기도재난안전대책본부도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각 지역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언론 등에게 발표하는 브리핑 자료에는 산사태 관련 예보는 빠진 채 배포되고, 주민들에게도 정확한 사실 전달이 안되는 형편이다.

13억 원의 예산을 들여 ‘산사태 위험지 관리시스템’을 구축중인 산림청 관계자는 “일선 시.군구 읍면동 단위로 담당 공무원이 현장과 기상상황을 확인해 산사태 위험 예보를 발령한다”며 “예보가 발령되면 산림청 홈페이지 등에 예보 사실이 뜨고, 안전 활동을 강화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의 말을 분석해 보면 기초자치단체 해당 담당 공무원만 예보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담당자가 상급 단체에 예보 발령 사실을 알려야 하지만 정작 집중호우가 발생됐던 6일 당일에는 예보 시스템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 와중에 한 지역의 산사태 담당 공무원은 호우특보가 해제되자 자리를 비운 것으로 확인됐다. 지반 약화 등이 호우 이후에도 나타날 수 있어 산사태 위험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자리를 비운 것이다. 이 공무원이 자리를 비운 시각에도 해당 지역의 산사태 위험 경보는 해제되지 않은 시점이다. 이 공무원의 상급 기관 담당자 역시 자리를 비워 연락이 안됐다.

서울 우면산 산사태와 강원도 춘천 팬션 매몰사고로 많은 인명 사고가 발생된 지 1년도 지나지 않았지만 여전히 안전 불감증은 만연하다. 주민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산사태 위험 예보, 아무도 모르는 예보로 전락된 채 주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김성민 기자 icarus@itvfm.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