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스쿠프 | 박창희의 비만 Exit

▲ 잘못된 식습관은 비만과 질병을 부르게 마련이다. 사진은 식습관 개선 만화영화 ‘요리조리 맛술사’. (사진=뉴시스)
주변 환경은 우리의 식욕을 가만히 놔두질 않는다. 자극적인 음식이 잠자는 식욕을 억지로 흔들어 깨우는 것이다. 궁핍하던 시절, 두 손 모아 ‘한 푼만 줍쇼’ 라며 구걸하던 거지들의 모습을 상상해 보라. 그 한 줌 안에 들어갈 만큼의 음식이 우리의 한끼 식사량이다.

한 줌에 담길 정도의 음식이면 소스라치게 적은 양이라 느낄 수도 있겠지만 에너지의 효율적 메커니즘을 갖고 있는 우리 몸은 불과 그 정도의 양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특정한 맛의 중독성과 포만감의 유혹에 우리들은 끊임없이 음식에 의존한다.

음식의 총 공세 속에서 우리는 건강을 지키기 위해 좋은 음식을 찾아내 먹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본전을 뽑겠다며 우리는 뷔페식당의 문을 열어젖힌다. 이윽고 커다란 접시를 들고 입과 뇌만 즐거울 뿐인 음식들을 하나 가득 담는다. 어른들이 이 지경인데 아이들은 어떻겠는가. 아이들의 접시는 소스 얹은 포크커틀릿(일명 돈가스)에 소시지, 감자튀김으로 가득하다.

거대자본을 등에 업은 식품산업이 먹음직스러운 비자연적 식품을 만들어 우리의 주머니를 털어내는 것은 아주 쉬운 일이다. ‘비자연적 식품을 피하라’ ‘진일보한 식품제조 기술과 원료로 만들어낸 가공식품을 피하라’는 필자의 말은 읍소에 가깝지만 대중에겐 감흥 없고 못내 진부할 뿐이다.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져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건강을 해치고 있는 우리의 자녀들에게 누가 경종을 울려줄 것인가. 짠맛과 단맛이 대뇌 깊숙이 새겨지면 싱거운 음식은 입 안에 들어오는 것조차 거부하는 것이 아이들의 현실이다.  “아이들에게 식사독립권을 주지 맙시다.” 일제에 맞섰던 독립운동을 방해라도 하는 듯한 느낌의 이 표현은 최근 강연에서 필자가 한 말이다. 내 자식이 아니라 하더라도 빵과 달콤한 음료를 먹고 있는 어린이들을 보면 가슴이 미어진다. 고작 빵과 음료를 먹을 뿐인데 무슨 대수냐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필자에게 그 행위는 췌장의 베타세포를 두드려 인슐린 호르몬을 치솟게 함으로써 결국 당뇨로 가는 지옥의 문을 여는 최초의 행위로 보인다. 요즘 음식은 대부분 소화흡수율이 높은 편이다. 상악이나 하악 등의 턱 근육을 쓸 일이 없다 보니 얼굴도 각이 나올 일이 없다.

얼굴선도 둥글고 피부도 희다 보니 요즘 남성들은 여성보다 더 곱다. 턱이 뻐근하도록 칡뿌리를 씹어대거나 뼈에 붙은 살이 부족해 근막까지 송곳니로 끊어대던 원시 식습관이 바람직하다 한들 신인류들이 그것을 따라할 수 있을까. 잘못된 입맛이 비만을 낳고 다시 각종 질병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막기 위한 해결책은 나쁜 습관을 버리는 것이다. 결국 마지막 한 오라기의 짚이 낙타 등을 꺾는 게 아니겠는가.
박창희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hankookjoa@hanmail.net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