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만 모르는 ‘낙하산 파벌’

새로운 CEO가 취임했다. 조직을 장악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신의 라인을 구축했다. 여기까지는 나쁠 게 없다. 당연한 수순이다. 하지만 도를 넘어섰다. 독단적인 경영을 위해 기존 세력을 내치고 자신의 라인만을 챙겼다. 신구 세력간 갈등은 커지고, 조직은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

▲ 안현수 선수는 대한빙상연맹 파벌 다툼으로 러시아로 귀화했다. 그는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3관왕에 올랐다. [사진=더스쿠프 포토]
박근혜 정부 출범 후 A씨가 한 공기업 사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관련 업계 전문가로 평가받는 인물이었다. 우선 ‘낙하산 인사’ 논란은 피했다. 하지만 문제는 ‘파벌 갈등’이었다. 몇 달 후 A사장은 대대적인 임원 인사와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회사는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인사와 조직개편”이라고 외부에 알렸다. 하지만 내막을 알고 있는 일부 직원들은 자기 라인을 세우고, 기존에 힘이 셌던 계파를 정리하기 위한 작업이라고 짐작했다.

이 공기업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최소한 취임한 사장이 관련 전문가이고, 낙하산 인사 논란에서도 벗어났기 때문이다. 다른 공공기관의 기관장을 보면, 여당 정치인이 수두룩하다. 올 2월 21일 검사 출신인 이상권 전 새누리당 의원은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으로 취임했다. 이 전 의원은 2007년 박근혜 후보 경선대책위에서 인천총괄본부장을 지낸 인물이다. 전기안전공사와 관련된 경력은 18대 국회의원 시절 전기안전공사가 속한 국회 지식경제위원회(현 산업통상자원위원회)로 활동한 게 전부다.

박근혜 대선캠프에서 활동한 김성회 전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해 12월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에 올랐고, 친박 인사로 꼽히는 김학송 전 의원 역시 같은 시기에 한국도로공사 사장 자리에 앉았다. 이들 정치인에게서 전문성을 찾을 수 있을까. 박근혜 대통령은 줄곧 ‘인사’ 기준을 전문성에 두겠다고 밝혀왔다. 박 대통령은 당선 직후인 2012년 12월 “공기업과 공공기관에 전문성이 없는 인사들을 낙하산으로 보낸다는 얘기가 들린다”며 “이는 국민께도 큰 부담이 되고 잘못된 일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낙하산 인사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 [더스쿠프 그래픽]
그룹의 수장은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과 전문성 두가지 요소를 기본으로 갖춰야 한다. 앞서 정치인들이 아무리 뛰어난 리더십을 가졌다고 해도 전문성이 부족하면 리더로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얘기다. 낙하산 인사를 통해 정부가 그 기관을 영향력 아래에 두는 것도 문제다.

이지수 경제개혁연대 변호사는 이렇게 설명했다. “정치인이 한 기업의 수장으로 선임되면 정부가 그를 통해 입김을 불어넣을 수 있다. 의사결정이 기업의 구성원과 주주를 위해서 이뤄져야 하는데 국가의 이익을 위해 움직인다. 주주에겐 해가 될 수 있다. 낙하산 인사로 선임된 인물이 정부의 ‘지배 통로’가 되는 것이다.”

낙하산 인사는 또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앞서 언급한 A사장처럼 새롭게 등장한 CEO는 자신의 라인을 구축하려고 한다. 그래야 그들을 통해 조직을 장악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기존 세력과 겪는 갈등이다. 신임 사장의 힘을 등에 업고 가는 신진 세력과 기존 세력간의 갈등으로 조직이 혼란에 빠진다는 것이다. 또한 실력이 아닌 파벌로 인해 승진한 인사가 계속 나오면 그 조직은 앞으로 실력으로 인재를 등용해도 신뢰가 쌓이지 않는다. 결국 불신과 파벌 문화가 자리 잡게 된다.

개혁이라며 파벌 형성

이런 파벌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이 KT다. KT는 2002년 정부가 지분을 매각해 민영화됐지만 여전히 정부의 입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2009년 1월 이석채 KT 전 회장(제2대 정보통신부 장관 출신)이 취임했다. KT의 파벌 갈등은 여기서부터 더욱 악화됐다. 이후 이 전 회장은 자신의 라인을 구축했다. 명분은 ‘개혁’이었다. 그는 ‘All New KT’를 외치며 외부 인사를 영입했다. 물론 이 전 회장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 인물들이었다.

이 전 회장의 라인은 크게 두 개다. 학맥인 ‘경복고’와 관료인 ‘정보통신부’ 출신이다. 이 전 회장의 대표적인 경복고 라인으론 표현명 KT 사장, 김응한 KT이사회 의장(미시간대 교수), 김상효 KT 전무 등이 꼽힌다. 회장부터 사장 그리고 그룹 최고 의사결정기구의 수장 등 요직이 특정 고교 출신으로 몰린 것이다. 한쪽으로 치우쳐 견제할 수 있는 세력이 없다는 것을 뜻한다.

▲ 이석채 전 KT 회장이 영입한 신진 세력과 KT 기존 전통 세력이 갈등을 겪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보통신부 라인은 서홍석 KT 부사장(이석채 전 회장, 정보통신부 장관 당시 비서관), 이재륜 KT서브마린 사장(총무과장), 석호익 스카이라이프 고문(정책심의관) 등이다. 특히 석호익 고문은 2009년 KT 부회장으로 영입돼 약 2년 동안 일하다 2011년 9월 퇴사했다. 이후 석 고문은 지난해 초 스카이라이프 고문으로 복귀했다.

이 전 회장은 정치인도 영입했다. 2013년 이 회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 대선후보 시절 정책 홍보단장 출신인 임현규 KT부사장을 영입했다. 홍사덕ㆍ김병호 새누리당 전 의원도 KT 고문으로 앉혔다. 홍 고문은 박근혜 대선후보 선대본부장, 김 고문은 박근혜 대선캠프 공보단장을 지낸 인물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홍사덕ㆍ김병호 전 의원은 통신 분야에 대해 어떤 전문성도 지니지 않고 있다”며 “결국 이 두명의 영입은 정권에 줄을 대기 위한 로비스트를 영입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 [더스쿠프 그래픽]
새롭게 영입하거나 승진한 이석채 라인은 기존 임직원과 갈등을 일으켰다. 이 회장이 영입한 외부 인사를 뜻하는 ‘올레 KT’와 기존 KT 조직을 뜻하는 ‘원래 KT’간의 갈등이다. 조태욱 KT노동인권센터 집행위원장은 “이석채 전 회장이 영입한 올레 KT 인사들에게만 사업에 대한 결정권이 주어졌고 성과급ㆍ승진 등 보상도 그들에게만 돌아갔다”며 “이석채 전 회장이 자기 라인을 구축하며 독단적인 경영을 하면 할수록 두 조직간 갈등은 더욱 심해졌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KT에 비해 신구 갈등(외부에서 영입된 신진 세력과 기존 전통 세력간 갈등)이 비교적 적다. ‘순혈주의’가 강한 포스코 특성이 작용했다. 외부 인사가 잘 영입되지도 않지만 영입된다고 해도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다. 포스코 내부엔 “제철소에서 일해 본 포스코 출신만이 포스코를 이끌수 있다”는 말이 나돈다. 그렇다고 포스코 조직 내부에 파벌 갈등이 없는 것은 아니다. 포스코에는 제철소 출신과 비 제철소 출신인 경영전문가로 라인이 나눠진다. 2009년 정준양 포스코 전 회장이 선임되는 과정에서 이런 대결 구도가 잘 나타났다.

정권 영향 받는 KTㆍ포스코

당시 회장 후보에 오른 이는 정준양 전 회장(광양제철소장 지낸 전문가)과 윤석만 포스코건설 전 회장(홍보, 경영 전문가)이었다. 하지만 정준양 전 회장이 회장에 올랐고, 이후 포스코는 제철소 라인이 힘을 얻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에 취임한 권오준 회장도 포스코 기술총괄 부사장 출신으로 정준양 라인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그러나 포스코의 파벌 문제에서 더 중요한 것은 정치적 외풍이다. 포스코는 민영화됐지만 여전히 정부의 영향을 받는다. 포스코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회장이 교체됐다. 유상부 전 회장(김대중 정부), 이구택 전 회장(노무현 정부), 정준양 전 회장(이명박 정부)이 그랬다. 업계에선 “권력에 기댄 포스코 순혈인사만이 회장에 오를 수 있다”는 말이 떠돈다.
박용선 더스쿠프 기자 brave1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