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효앙의 Let’s make Money

누구나 은퇴 후 여유로운 생활을 꿈꾼다. 고정된 연금을 받으며 여행을 다니고, 취미생활을 즐기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누구든지 이런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건 아니다. 젊었을 때 노후를 대비한 자에게만 기회가 있다. 개인연금투자가 필요한 이유다.

▲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만끽하고 싶다면 노후준비를 일찍 시작해야 한다. [사진=뉴시스]

인도양에 위치한 몰디브. 세계에서 손꼽히는 휴양지다. 아름다운 바다와 뛰어난 자연경관 때문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몰디브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익숙한 곳인데, 대표적인 신혼여행지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몰디브를 찾는 사람들은 대부분 서양인이다. 특히 50대 유럽 관광객이 많다. 절경을 자랑하는 몰디브에서 휴식을 취하는 이들은 여유롭고 한가롭다. 몰디브는 그들에게 천국이다.

▲ [더스쿠프 그래픽]

필자가 말하려는 건 몰디브에서 휴양을 질기는 유럽인의 이야기가 아니다. 은퇴 후 휴양지를 찾을 만큼 여유로운 이들의 노후대비법을 살펴보자는 거다. 유럽은 우리나라보다 일찍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유럽연합(UN)과 일본 국립사회보장ㆍ인구문제연구소에 따르면 영국과 프랑스는 1929년 65세 이상 인구의 고령화율이 7%를 넘었다. 옛 서독은 1930년, 스웨덴은 이보다 훨씬 앞선 1887년에 65세 이상 인구의 고령화율이 전체 인구의 7%를 차지했다. 반면 한국은 2000년에 들어서야 65세 이상 인구 고령화율이 7%를 넘었다. 2019년이면 이 수치가 19%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유럽이 고령화 시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였다면 지금처럼 선진화된 노후문화를 만들지 못했을 거다. 유럽은 고령화와 함께 들이닥친 ‘저금리 시대’를 겪으면서 복지국가에 눈을 떴다. 혹독한 저금리 시대에 유럽인은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깨달았고, 국민들은 스스로 노후준비를 하기 시작했다. 유럽인의 삶에 ‘노후준비’라는 콘셉트가 스며들어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개인연금은 국민연금과 퇴직연금만으로 부족한 노후자금을 충당할 수 있는 장치다. [사진=뉴시스]

최근 은퇴한 60대 유럽인 A씨의 사례를 살펴보자. 나라에서 받는 노후연금은 우리나라 기준으로 월 150만원 안팎이다. 이 연금은 평생 지급된다. 적다면 적고, 많다면 많은 돈이다. A씨는 고교 졸업 후 30여년간 기술직으로 근무를 했다. 그는 어려서 부모님을 보면서 노후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느꼈다. 저금리로 인해 저축을 해도 큰돈을 모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그는 취업과 동시에 노후 준비에 돌입했다. 덕분에 그는 은퇴 후 여유로운 삶을 만끽할 수 있게 됐다.

누구나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꿈꾼다. 고정된 연금을 지급받으며 1년 중 절반을 해외에서 보내고, 휴양과 여행을 반복한다. 집에서는 인근 산에 올라 등산을 하고, 자전거를 탄다. 남편이 나간 사이 아내는 집에서 그림을 그리거나 꽃을 키우고 작은 텃밭을 가꾼다. 집안 곳곳에는 그녀가 그린 그림과 보기만 해도 화사한 화분이 가득하다. 주말엔 수영장에서 수영을 하거나 한가롭게 책을 보고 저녁엔 쇼핑을 한다. 은퇴 후 경치 좋은 자연에서 여유를 느끼며 문화생활을 영위하는 것을 꿈꾸는 것은 모두 똑같다.

1920년대부터 노후 대비한 유럽

하지만 누구에게나 이 생활이 허락되는 건 아니다. 은퇴 후 생각하지 못했던 노후문제에 시달리는 이들이 많다. 그들의 사례는 우리에게 한가지 사실을 알려준다. 갈수록 평균수명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여유로운 미래를 원한다면 당장 노후준비에 나서라는 거다. 부모 세대를 떠올려보자. 100세 시대의 개막으로 노후가 길어졌지만 늘어난 삶을 즐길 수 있는 이들은 드물다. 우리나라처럼 노후복지체계가 갖춰지지 않은 국가에선 스스로 노후를 대비해야 한다는 얘기다. 아득해 보이지만 지금부터 준비하는 게 좋다. 노후준비는 빠를수록 노년을 여유롭게 보낼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 [더스쿠프 그래픽]
하지만 많은 이들이 자녀 양육과 교육에 투자하거나 주택을 마련하느라 노후자금을 만들 여유가 없다고 하소연한다. 물론 자녀교육이나 주택마련은 인생을 사는 데 중요한 요소다. 그렇다고 삶의 전부인 건 아니다. 내 노후를 보장해주는 게 아니라서다. 지금의 젊은 세대는 그들의 자녀에게 용돈조차 바랄 수 없다. 집에 의존하지 말고 자녀에게 짐이 되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다.

방법은 하나다. 스스로 노후를 준비해 여생을 빛나게 만드는 거다. 우리나라의 경제적 환경은 신통치 않다. 저금리 시대의 고착화로 인해 금리에 기대 저축하는 게 쉽지 않아서다. 이런 상황에서 노후에 대비하려면 시간부터 마련해야 한다. 그다음 복리를 이용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작은 비용을 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복리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금융상품 중 하나는 노후대비를 위해 개발된 연금이다. 스스로 준비할 수 있는 개인연금을 통해 국민연금과 퇴직연금만으로 부족한 노후생활자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금은 가입 당시 평균수명이 적용돼 연금수령액이 결정된다. 가령 한 남성이 연금에 가입한다고 치자. 현재 이 남성의 평균수명은 80세다. 60세부터 연금을 받기로 했는데 60세가 되고나서 총 3억원의 연금자산을 모았다. 60세부터 80세까지 20년간 살 것이라는 가정 하에 3억원을 20년으로 나눠 연간 1500만원의 연금을 지급한다. 80세가 지나 120세가 돼도 사망 시까지 연 1500만원씩 지급한다. 만약 70세 사망하면 남은 100세까지 30년 동안 남은 아내 혹은 자녀에게 연 1500만원이 지급된다.

▲ [더스쿠프 그래픽]
이는 연금을 일찍 가입할수록 평균수명이 적어지기 때문에 더 많은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무엇보다 평생 지급되기 때문에 오래 살수록 유리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평균수명이 가장 빠르게 상승하는 국가는 대한민국이다. 노후를 대비할 때 연금은 절대 빠질 수 없는 방법인 셈이다. 연금은 변동금리가 크게 적용하는 연금보험과 펀드에 투자되는 변액연금이 있다. 연금보험은 은퇴를 앞둔 노년층에 적합하다. 변액연금은 노후까지 시간을 앞둔 근로소득자에게 적합하다. 저축기간이 길수록 펀드투자의 수익과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도 개인연금수령자가 있다. 이는 이들이 1990년대부터 노후를 준비했다는 뜻이다. 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 “내가 한 일 중 가장 뿌듯한 것은 연금에 가입한 것이다.” 사람은 내일에 대한 불안감을 안고 산다. 연금은 노후대비에 대한 막연한 불안을 해소하는 방법 중 하나다.
주효앙 모네타 재무컨설턴트 joohyoang@hanmail.net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