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리스크 위안화와 루블화

▲ 위안화 약세와 크림반도 사태가 가속화되면 투자 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사진=뉴시스]
중국 위안화가 널뛰면 세계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환율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져서다. 러시아 루블화의 약세가 계속되면 국제금융시장에 먹구름이 낀다. 우크라이나 지역 분쟁이 해결되지 않았다는 증거여서다. 두 통화의 환율추이를 살펴보면 세계경제의 미래를 엿볼 수 있다.

“주식시장에 중소형주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은 좋은 징조다. 수출 대기업 중심의 우리 경제구조가 체질적으로 달라지고 있다는 의미라서다. 하지만 대외적인 리스크로 인해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강해지면 중소형주 투자심리도 위축될 수 있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의 경고다. 근거는 최근 불거진 중국의 위안화 약세와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크림반도 사태다.

▲ [더스쿠프 그래픽]
먼저 중국은 3월 15일 위안화 환율 일일 변동폭을 1%에서 2%로 확대했고, 17일부터 적용하고 있다. 기존보다 2배(아래 위 각 2배로 이론적으로는 4배)로 위안화 환율이 널뛴다는 얘기다. 당연히 위안화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위안화 약세가 가속화될 경우 국내 주식시장은 물론 기업들까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거다.

국제결제은행(BIS) 데이터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권의 중국 익스포저(중국에 연관된 모든 거래금액)는 2008년 1000억 달러에서 지난해 3분기에 8000억 달러로 급증했다. 중국 위안화에 투자한 자본들이 8배나 늘어났다는 거다. 단기투기자금이 대거 빠져나간다면 유동성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박소연 연구원은 “유동성에 문제가 생기면 외부자금에 의존하던 한계기업(재무구조가 탄탄하지 않은 기업)은 환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위안화를 중심으로 생겨난 파생상품도 줄줄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과의 통화스와프(일정시점에 약정된 환율에 따라 해당 통화를 상호 교환하는 외환거래)를 통해 국내 기업의 환위험을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 [더스쿠프 그래픽]
또 다른 문제로 지적되는 러시아 리스크는 크림반도 사태의 장기화다. 박 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3월초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맡아 보관하고 있던 미국 국채잔고가 일주일만에 1045억 달러(약 110조원) 줄어들었다. 그런데 감소한 미국 국채가 채권시장에 나오지 않았다는 거다. 박 연구원은 “채권시장 관계자들은 서방국의 경제 재제를 우려한 러시아가 벨기에 등 중립국으로 미국 채권을 옮겨 재수탁한 게 아니냐고 추측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게 사실이라면 러시아가 서방의 경제제재를 각오하고 있다는 의미다. 물론 군사적 충돌 위험은 사라졌고,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작업은 착착 진행 중이다. 하지만 극단적인 시나리오를 배제하더라도 사태 해결에 오래 걸린다면 국제금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거라는 게 박 연구원의 주장이다. 박 연구원은 “러시아 루블화의 환율추이를 보면 사태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루블화 환율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더 나쁜 상황(약세)이다. 강세 반전이 확인돼야 금융시장의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살아나는 거다.

▲ [더스쿠프 그래픽]
김정덕 기자 juckys@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