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제조업 경쟁력 비결

▲ 한국은 독일 제조기업의 강점을 배울 필요가 있다. 독일과 우리의 경제구조가 비슷해서다. [사진=뉴시스]
독일은 유럽 전체 제조업 부가가치의 30%를 차지한다. 글로벌 시장 수출 점유율은 세계 3위다. 유럽 국가 대부분이 글로벌 금융위기에 흔들리던 시기에도 독일이 건재할 수 있었던 비결이다. 이들의 경쟁력은 한국에 시사하는 바도 크다. 독일의 경제구조가 우리와 비슷해서다. 전경련이 분석한 독일 제조업의 경쟁력 비결을 정리했다.

전 세계에서 연구개발(R&D)에 가장 많이 투자하는 기업은 어디일까. 흔히 삼성전자,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IT기업을 생각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두 회사는 2위와 3위다. 1위는 독일의 자동차 회사 폭스바겐이다. 독일 제조업의 경쟁력은 지속적인 R&D 투자에서 나온다. 2012년 R&D 투자가 많은 글로벌 500대 기업을 보면, 독일기업이 41개, 한국은 1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매출액 대비 R&D도 독일(6.5%)이 한국(3.1%)의 2배를 넘어섰다. 독일의 R&D 경쟁력은 국가 전역에 구축된 300여개의 산업클러스터를 통해 강화된다. 우선 독일 정부는 클러스터 설립의 밑그림을 그린다. 이후 기업 중심의 강력한 산학연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한다.

 
폭스바겐 그룹의 경우, 1980년부터 시장 상황과 관계없이 매년 매출의 5% 이상을 R&D에 투자하는 ‘5% 룰’을 지켜왔다. 1980년대에는 중국에 투자해 현지전략모델을 개발했다. 그 결과, 폭스바겐은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1위를 질주하고 있다. 또한 폭스바겐은 지역 정부와 공동으로 독일 볼프스부르크 지역에 ‘자동차 비전’ 프로젝트를 추진해 부품단지를 조성했다. 이 지역은 협력업체를 아우르는 새로운 경제 생태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사례로 유명하다.

안정적 노사관계를 통한 높은 노동생산성도 독일 제조기업의 강점이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2013 세계경쟁력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의 노동생산성은 세계 1위, 노사관계 생산성은 8위로 평가받는다. 반면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8위고, 노사관계 생산성은 56위다. 매년 생산성 지수를 발표하는 미국 콘퍼런스보드의 연구에서도 한국의 시간당 생산성은 32.3달러(30위)로 독일(57.4달러ㆍ7위)에 훨씬 뒤진다.

안정적인 노사관계는 독일의 높은 노동생산성의 비결로 손꼽힌다. 기업이 고용을 보장하는 대신 근로자는 근로시간과 임금인상을 양보하는 방식으로 노사합의를 이뤄왔다. 대표적인 예로 벤츠는 2008년 터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정리해고를 안 하는 대신 20억 유로의 노동비용을 절감하는 노사협약을 체결했다. 모든 근로자는 노동시간을 8.75% 줄였고, 각종 성과급과 임금인상 계획을 유보했다. 독일 정부가 재계와의 공동 작업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 등을 포함한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을 단행한 것도 실업률 증가 없이 금융위기를 넘기는 데에 일조했다.

노사협약으로 위기 탈출한 벤츠

‘기술은 마르지 않는 금광과도 같다’라는 독일 속담이 있다. 독일에서 기술은 전통과 장인정신의 산물로 역사적ㆍ국가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독일은 전체 중ㆍ고등학생의 60%가 학교와 현장이 결합된 형태의 직업교육(Dual System)을 받는다. 이를 통해 전문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

독일 명품차로 잘 알려진 BMW도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매년 800여명의 인턴을 훈련시키고 있다. 이들은 자동차 개발ㆍ제작ㆍ정비 등 12가지 전문 직무에 따라 기술을 전수받고, 졸업 후에 동 분야에 바로 취업한다. 이 외에 폭스바겐ㆍ벤츠 등 50만개 이상의 대ㆍ중소기업도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산업 수요와 일치하는 교육을 제공하는 독일의 시스템은 개인ㆍ기업ㆍ사회에 긍정적인 선순환을 가져온다. 숙련된 기술 인력을 기업에 공급하는 동시에 사회적으론 청년 실업률을 낮춰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 안정적 노사관계를 통한 높은 노동생산성은 독일 제조기업의 강점이다. [사진=뉴시스]
독일 제조기업의 가족기업경영도 빼놓을 수 없다. 기업의 평균 수명은 20년을 넘기 힘들고, 30년이 지나면 80%의 기업이 사라진다. 독일에는 무려 1500개가 넘는 200년 이상의 장수 기업이 존재한다. 이 중 상당수는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1~3위를 기록하며 독일 제조업을 이끌고 있는 강소기업들이다. 장수기업 성공의 이면에는 가족경영기업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독일은 전체 기업의 95%가 가족기업 형태로 안정적인 경영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책임경영과 더불어 근로자ㆍ지역사회와 높은 유대감을 유지해 온 것이 장점이다. 300년 역사를 지닌 머크 또한 작은 약국에서 시작해 세계적인 글로벌 화학원료ㆍ제약기업으로 성장했다. 머크는 13대째 가족구성원이 회사 경영에 참여, 장기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투자전략을 수립해 왔다.

이제는 복합기업(Conglomerate)으로 성장

독일 정부는 가족경영은 부의 대물림이 아닌 장수기업이 많아질 수 있는 한 방법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 정부는 2010년 장기간 고용 유지 등 일정 조건만 이행하면 상속세가 부과되지 않도록 상속세법을 개정한 바 있다. 독일은 특정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우량기업이 미국ㆍ일본 등에 비해 4~5배 이상 많다. 독일기업은 전통적인 강점 분야의 경쟁력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기술선도를 통해 시장을 조각해 나가는 ‘룰세터(rule-setter)’로 정의된다.

 
160년의 역사를 가진 지멘스는 전통적인 전자기기 공학 기업이다. 이 회사는 전자부분 기술역량에 집중해 최초의 진공청소기, 인공심장 박동기 등 가전제품과 의료기기를 넘나들며 획기적인 전자기기를 개발해 왔다. 기술선도를 통해 시장 자체를 창조해 진출하지 않은 전자제품분야가 거의 없을 정도다. 지멘스는 세계적으로 몇 안 되는 복합기업(Conglomerate)으로 분류된다.

지멘스는 독일 민관이 함께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 성장전략인 ‘인더스트리 4.0’에 발맞춰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개념을 도입해 공정을 고도화하고 있다. 인더스트리 4.0은 제조업에 ICT기술을 접목해 4차 산업혁명을 이루겠다는 독일의 제조업 성장 전략이다. 제조업 주도권에서 두세 걸음 경쟁국을 앞서는 독일의 진면목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박용선 더스쿠프 기자 brave1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