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관점 바꿔라 ①

▲ 부동산 활성화 정책보다 공공임대주택 공급과 같은 부동산 안정화 정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온다.[사진=뉴시스]

“왜 부동산 규제를 풀려고 하나.” 답은 간단하다. ‘빚의 경제’를 통해 시장에 활력을 주겠다는 거다. 부동산 규제를 풀면 대출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제전문가들은 다른 의견을 내비친다. 소득이 늘어야 자연스럽게 주택경기가 살아난다는 거다. 부동산을 살릴 비책은 ‘빚보단 소득’이라는 주장이다.

부동산 규제 완화를 둘러싼 찬반 논쟁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시장은 침체에 빠진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해 정부가 마지막 카드를 뽑아 들었다고 평가한다. 박근혜 정부는 지난해 ‘양도소득세 감면’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 등의 세재정책을 사용했다. 올해는 ‘초과이익 환수제 폐지’ ‘등의 정책이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침체는 계속되고 있다. 그렇다면 마지막 카드는 통할까.

전문가들은 LTV와 DTI의 조건을 완화해도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경기침체 장기화로 주택을 구입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조성찬 토지정의시민연대 연구위원은 “LTV와 DTI 규제를 완화해도 큰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며 “미분양 아파트가 발생하는 등 집값이 상승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빚을 더 늘릴 수 있어도 집을 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세진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새사연) 이사는 “일반 국민은 축적된 자산을 모두 소진한 상태여서 빚을 지지 않는 이상 주택을 구입하기 어렵다”며 “주택가격이 오른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규제에 부응해 주택을 사는 국민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에 호재가 될 순 있지만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유는 간단하다. 부동산 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오랜 침체기로 집값 상승 기대감이 적어 거래량이 좀처럼 늘어나기 어렵다는 점도 이유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부동산 규제가 완화되면 자금마련이 쉬워지겠지만 주택수요가 큰폭으로 늘어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이 ‘매매활성화에 정책이 맞춰져서는 곤란하다’고 주장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가계부채가 1000조원을 넘어선 지금, 상당수 가정이 대출을 받은 상태다. 소득도 늘지 않아 추가대출을 받기도 쉽지 않다. 부동산 경기침체와 대출은 무관하다는 얘기다. 조성찬 연구위원은 “현재와 같은 매매시장 활성화 정책으론 전ㆍ월세 시장이 안정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통한 전ㆍ월세 시장의 안정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공공임대주택 비율은 5.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1.5%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경제성장 모멘텀’을 부동산 시장에서 찾아선 안 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강세진 새사연 이사는 “경제성장률에 집착해선 안된다”며 “기존의 성장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소득불균형 문제를 해결해 성장을 꾀할 전략을 짜야 한다”고 꼬집었다. 중산층의 소득이 증가하면 주택을 구입하려는 수요 또한 늘어날 거라는 얘기다. 양극화 해소를 통해 자연스럽게 부동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는 거다. 금융권 관계자는 “LTV와 DTI 규제가 없었다면 더 많은 ‘깡통주택’과 ‘하우스 푸어’가 발생했을 것”이라며 “부동산 경기를 살리기 위해서는 규제완화보다 소득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