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넥스 출범 1년의 명암

▲ 코넥스 시장 활성화를 위해 개인예탁금 규정을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사진=뉴시스]

제3의 주식시장 ‘코넥스(Korea New Exchange)’가 지난 7월 1일 출범 1주년을 맞았다. 출범 초기 ‘프리보드의 실패가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와 ‘창조경제의 첨병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공존했다. 1년 성과 역시 마찬가지다. 상장사가 크게 늘었지만 거래부진은 심각한 수준이다.

스타트업 기업과 기술형ㆍ성장형 혁신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제3의 주식시장 코넥스가 출범한 지 1년이 지났다. 박근혜 정부가 내세운 ‘창조경제’의 첨병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코넥스 시장은 출범 초기부터 시장의 우려를 샀다. 장외주식시장인 ‘프리보드’와 역할이 중복되는 게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초반의 우려는 불식시키는 데 성공했다. 상장사는 지난해 7월 출범 당시 21개 기업에서 56개 기업으로 2.6배가 됐고, 시가총액은 4900억원에서 1조1000억원 규모로 증가했다. 올해 6월말까지 12개 기업이 사모전환사채와 유상증자의 방식으로 487억원의 자금을 조달한 것도 성과다. 코스닥 등 상위시장 진출을 위한 인큐베이터 시장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그림자도 짙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줄어들 거라는 우려는 현실이 됐다. 지난해 8월 5억4000만원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던 일평균 거래대금은 2억원대로 감소했다. 지난해 일평균 6만1000주를 기록했던 거래량도 올해 들어 4만9000주로 줄어들었다. 월평균 14개의 거래만 형성될 정도로 ‘거래형성 종목수’가 적은 것도 문제다.

황세윤 자본시장연구원실장은 “거래가 얼마나 활발히 이뤄지고 있느냐로 코넥스의 성패를 판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다양한 기준에 의해 효율성과 자금 조달 성공여부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얼마나 많은 기업이 상위시장으로 옮겨가느냐와 얼마만큼의 자금조달이 이뤄졌느냐를 따져야 한다”며 “코넥스시장에 상장했다는 사실만으로 자금 조달에 도움이 됐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만큼 결코 실패한 시장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거래 활성화는 코넥스 시장이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다. 이유는 별다른 게 아니다. 투자기반이 취약할 경우 안정적인 투자를 기대하기 어렵다. 거래가 활성화돼야 기업의 가치평가에도 신뢰가 생긴다. 문제는 대안이 마땅치 않다는 거다. 코넥스 시장의 매수 비중은 기관투자자가 57.5%, 개인투자자가 35.9%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기관투자자는 장기투자성향이 강해 활발한 거래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런 맥락에서 개인투자자의 거래가 활성화돼야 하는데,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무엇보다 3억원의 예탁금을 내야 이 시장에서 거래를 할 수 있다. 이 정도의 예탁금을 내기 어려운 이들은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만 가능하다. 개인투자가 위축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김군호 코넥스협회장은 “지난 4월 코넥스 활성화 대책이 나왔지만 거래량 증가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며 “예탁금 3억원이라는 기준이 너무 높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회원사가 예탁금 제도가 왜 필요한지 의문을 갖고 있다”며 “거래 활성화를 위해 예탁금을 1000만~2000만원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입장은 시장과 완전히 다르다. 이명순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은 “코넥스는 리스크가 높은 기업이 상장돼 있어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 투자자가 참여하는 것이 맞다”며 “증권사 일임형 랩어카운트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상품으로 얼마든지 시장 활성화를 충족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