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희의 비만 Exit | 살과 사랑 이야기

밀가루가 우리의 뱃살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음은 분명하다. 다이어트의 적으로 치부되고 있지만 밀가루 입장에선 억울한 게 한두개가 아닐 게다. 밀가루로 굶주림을 극복해온 인간들이 이제는 자신을 홀대하려 하니 말이다. 하지만 밀가루의 잘못이 아니다. 생산성 향상을 통한 이익 증대에 인간의 눈이 멀면서 밀 본연의 가치가 희생된 것이다. 현재 우리가 먹는 밀가루는 야생 들판에서 자라 인간의 손으로 수확한 밀이 아니다.

▲ 현대인이 먹는 밀은 기존 유전자를 파괴해 만든 것이다. [사진=뉴시스]
각종 질병이나 가뭄, 그리고 높은 기온을 견뎌가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인간이 변형한 상품에 불과하다. 스스로의 의지에 의해 자생한 게 아니라 인간이 의도한 대로 순종하며 변해온 돌연변이 교잡종이라는 것이다. 가을 들녘의 코스모스 꽃이 한들거릴 수 있는 이유를 우리는 잘 안다. 늘씬한 키 덕분에 가볍게 넘실대는 것이다. 밀밭 역시 마찬가지다. 바람에 우아하게 흔들리는 키 큰 밀밭 풍경을 우리는 낭만적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밀밭은 더 이상 코스모스처럼 춤을 추거나 누런 파도처럼 물결치지 않는다. 소출이 많은 밀을 거두기 위해 기존 유전자를 파괴해 30~60㎝ 단신의 왜소종 밀을 탄생시켰기 때문이다. 흔들리지 않으니 낟알을 머리에 잔뜩 이고 있어도 쉽게 넘어지지 않는다. 넘어지지 않는 몸이 됐으니 질소비료를 양껏 빨아들여 풀의 윗부분이 거대한 비율로 성장할 수 있었다. 만삭의 몸으로도 허리가 구부러지지 않는 밀이 인류의 배고픔을 해결했다손 치자.

문제는 수많은 변형을 거친 이상한 식량이 인간의 몸에 적합한지에 누구도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았다는 거다. 잡종 교배 등의 기술로 수천가지의 밀을 개발한 유전학자들이나 또 그것을 생산한 많은 농부를 탓하려는 것이 아니다.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늘려 사람들을 굶주림으로부터 구해 냈다면 그들은 ‘기아감소’라는 칭송받을 만한 목표를 달성한 것이다. 진짜 문제는 지금도 식탁에 앉아 인위적으로 양산한 밀가루를 삼키고 있을 수많은 사람들의 몸에 미칠 영향이다. 그렇다면 밀가루의 문제점은 뭘까. 일단 밀가루는 외견상 아주 희고 고운 자태를 뽐낸다. 자연 상태의 단단한 통곡을 그대로 빻아냈다면 저토록 희고 고운 백분상태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표백제를 퍼부어 버무린 것이라는 극단적 논리도 있지만 그렇지는 않다. 올바른 비판은 진실을 기반으로 해야 설득력을 얻을 수 있다. 밀가루가 흰 것은 껍질과 배아를 없애고 색깔이 흰색인 낱알 부분만을 쓰기 때문이다. 공기접촉과 빛 반사율도 밀가루를 희게 보이도록 거든다. 특히 밀가루는 생산될 때 공기압으로 이동할 정도로 입자가 곱고 미세하다. 게다가 친수성이라 약간의 물을 붓고 치대면 아주 특이한 점성의 물질로 변한다. 만두피를 빚는 엄마 옆에서 반죽을 조금 얻어 장난을 쳐본 경험도 있지 않는가. 그런데 밀가루가 뭐 어떻다고? 서두르지 말자. 다음호도 있지 않은가.
박창희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hankookjoa@hanmail.net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