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 진짜 오르나

▲ 정부의 획일적인 부동산 시장 활성화 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사진=뉴시스]

경기가 나빠지면 반드시 이 얘기가 나온다. “부동산을 살려라.” 부동산이 내수시장에 끼치는 영향력이 그만큼 크다는 방증이다. 문제는 ‘부동산 살리기 정책’이 이전만큼 내수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느냐는 거다. 주택가격이 임계점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그럼 주택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건 뭘까.

경기부양 정책의 단골손님은 단연 부동산이다.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꺼낼 때 부동산이 빠진 경우는 거의 없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도 아니다. 부동산이 내수경제에서 차지하는 규모가 크고, 다양한 산업과 연관돼 있어서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이 발표한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자가 주택이 있는 가계의 경우 주택매매가격이 1% 상승하면 가계소비는 0.13% 증가했다.

부동산이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도 이유다. 2012년 기준 국민순자산에서 토지ㆍ건설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52.7%, 36.2%를 기록했다. 자산의 88.9%가 부동산이라는 얘기다.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73.3%(2013년 기준)에 달한다. 이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어 주택가격이 하락하면 가계소비가 줄어 내수시장이 부진에 빠질 공산이 크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 활성화에 매달리는 이유다.

문제는 정부 정책으로 주택가격을 끌어올리기가 이전만큼 쉽지 않다는 데 있다. 국내의 주택 보급률은 2008년 100%를 넘어섰다. 통계만 보면 가구수에 비해 주택이 많다. 전국 시도 중 주택보급률이 100%를 밑도는 곳은 서울(97.5%)이 유일하다. 반면 인구성장률은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2000년 0.84%를 기록했던 인구성장률은 지난해 0.43%까지 떨어졌다. 2030년에는 인구규모가 성장을 멈추는 0.01%를 기록하고 그 이후엔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일 전망이다. 2030년을 정점으로 인구가 감소할 수 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급속한 노령화의 영향으로 소비력과 성장률은 계속 둔화될 것이다. 국내의 잠재 성장률 역시 2030년을 기준으로 2.4%에서 1%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는 “이전에는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면 각종 부동산 지표가 기민하게 움직였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며 “주택가격이 더 상승할 것이란 기대치 역시 낮다”고 꼬집었다.

주택 인식도 변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까지 주택은 투자수단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베이비붐 세대 이후의 세대에게는 주택은 거주공간이다. 단적인 예가 전월세 비중과 전월세 가격의 상승세다. 취업난, 학자금 대출, 높은 주거비 부담 등을 이유로 내집 마련의 꿈을 포기한 이들이 전월세 시장으로 몰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런 상황에서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려는 정책이 긍정적인 효과를 줄지는 의문이다. 효과가 발생한다 할지라도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중산층과 다주택 보유자에게 돌아갈 공산이 크다.

성승현 ‘토지+자유연구소’ 연구원은 “소득 대비 주택가격 수준이 낮아져 가격상승 여력이 충분한 것처럼 보인다”며 “하지만 이는 가계부채로 부동산 가격을 떠받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정책은 주택가격 상승이 아닌 거래활성화에 맞춰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정한 가격의 주택이 공급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주택가격을 현실적인 가격으로 떨어뜨려 실수요자가 주택을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활발한 거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얘기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