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경제성장률 2015년 목표치 분석

▲ 시장의 관심이 2015년 중국의 GDP 성장률 목표치 설정에 쏠리고 있다.[사진=뉴시스]
2015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치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부에선 올해와 같은 7.5%, 다른 한편에선 7.0%로 목표치를 낮출 거라고 주장한다. 중국의 GDP 성장률 목표치가 주목 받는 이유는 이 수치가 실물경제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현재 경제지표로 볼 때 시진핑 정부는 GDP 성장률 목표치를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설정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수출경쟁력, 부동산 거래 활성화 등이 이유다.

올해 1~3분기 중국 경제는 7.4% 성장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7.7%의 성장률과 올해 정부 목표치인 7.5%에 비해 낮은 성장률이다. 아직 10월 주요 경제지표들의 수치가 발표되지 않아 섣불리 판단하긴 이르다. 하지만 10월 구매관리자지수(PMI), 글로벌 경제여건, 중국정부의 정책스탠스, 기저효과 등을 감안할 때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2014년 연간 GDP성장률은 중국 정부가 세웠던 당초 목표치인 7.5%를 밑돌 공산이 크다.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정부의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98~1999년 아시아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중국의 실제 GDP가 2년 연속 정부의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했던 경험이 있다.

 
시장의 관심은 중국 정부가 내년 GDP 성장률 목표를 얼마로 설정하느냐로 쏠리고 있다. 일부에선 올해와 같은 7.5%의 성장률 목표 설정을 예상하고 있다. 다른 쪽에선 7.0%로 목표치를 낮출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이맘때 올해 성장목표를 얼마로 할지 설왕설래했던 것과 비슷한 모습이다. 사실 두 주장 모두 근거가 있다. ‘목표 유지’ 주장의 근거는 중국 정부가 성장목표를 낮출 경우 실제 경제활동이 위축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5년마다 정책을 수립하는 규획規劃 기간에 연간 목표를 조정한 경우가 없었다는 논리도 한몫했다. 실제로 지난해에도 경제 성장률 목표치에 관한 여러 논의가 있었지만 결국 2012년과 동일하게 유지됐다. ‘목표 하향’ 주장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정부의 성장방식 전환과 구조조정 강화다. 둘째는 국제경제 환경 변화의 반영이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경제 조정 능력 약화 등이 있다.

전망이 엇갈리고 있지만 중국 정부의 성장률 목표치는 올해와 동일하게 유지할 공산이 크다. 경제지표 전망치를 보면 그렇다. 중국의 수출은 내년에도 10%대의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중국의 올 1~9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성장률 7.8%보다는 낮지만 2~3월 역성장의 폭이 컸다는 점을 감안하면 저조한 수치가 아니다. 특히 7월 이후 두자리 증가세를 회복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對미국ㆍ유럽연합(EU)ㆍ일본 수출 증가율이 지난해 2.3%에서 올해 8.2%로 상승한 것도 긍정적 요인이다.

한편에선 신흥국 경기 악화가 중국의 수출전선에 먹구름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하지만 크게 실망할 필요는 없다. 중국의 대신흥국 수출비중은 40%를 넘지 않는다. 선진국 경기가 회복된다면 중국의 수출은 올해와 비슷하거나 높은 증가율을 보일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변수다. 중국 부동산지수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10월 주요도시 42곳의 주택거래량은 2416만㎡(약 730만8400평)로 9월보다 12.6% 증가했다. 도시별로는 광저우廣州와 선전深川이 각각 58%, 4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는 20% 이상 상승했고, 25개의 2선 도시 가운데 17개 도시에서 거래량이 증가했다.

中 경제성장률 엇갈리는 전망치

더 긍정적인 건 부동산 거래 활성화가 중국의 전통적인 부동산 성수기인 ‘금구십은金九十銀(9~10월)’ 시기를 맞아 나타난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는 데 있다. 이는 지방정부의 규제완화, 인민은행의 대출 확대 조치가 부동산 시장에 새 바람을 일으키는 데 성공했다는 방증이다. 부동산 거래량은 가격과 투자에 선행하는 대표적인 지표다. 향후 부동산 가격 하락폭 둔화와 1~2분기 이후 저점 도달을 예상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 의지가 강하지 않다는 점도 눈여겨봐야 한다. 중국의 실물 경제를 파악할 수 있는 전력사용량ㆍ은행대출 증가량ㆍ철도화물운송량 등 3개 지표로 만든 ‘리커창’ 지수를 보면 9월 현재 3.6%에 머물고 있다. 이는 산업촉진조치가 나온 지난 4월의 5.2%보다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지난해 미니부양책이 나올 당시의 마이너스 1.3~3%보단 높다. 3분기 GDP성장률도 1.9%로 올해 1분기의 1.5%와 지난해 1분기 1.6%보다 높다.
▲ 중국의 내년 GDP 성장률이 올해보다 낮아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사진=뉴시스]

이런 상황에서 중국 경기가 급속히 냉각될 조짐이 나타면 중국 정부는 당연히 경기 부양에 나설 것이다. 중국 정부가 빼들 수 있는 카드가 그만큼 많다는 얘기다. 대표적으로 지급준비율 인하와 기준금리 조정, 부동산경기 완화 조치 등이 있다. 예상대로 중국 정부가 GDP성장률 목표를 내년에도 유지한다면 정책 기대의 영향으로 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 후강 퉁沪港通(상하이 증권거래소와 홍콩 증권거래소간 교차 매매 허용 정책) 조치가 실시돼 차익실현 매물이 증가하고 주가가 조정을 받더라도 양호한 수출경기, 부동산 거래 활성화 등은 중국 증시의 버팀목이 될 것이다. 중국 증시를 주도할 업종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부동산 시장 ‘바닥론’ 솔솔

GDP 성장률이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다면 부동산 관련 업종ㆍ내구소비재ㆍ일부자본재ㆍ금융업종 등이 주목을 받을 것이다. 그렇다고 이런 종목의 상승세가 강하게 형성될 거라는 얘기는 아니다. 올해보다는 ‘반등 모멘텀’이 조금은 강할 거라는 뜻이다. 물론 기존 주도 종목인 환경보호ㆍ국유기업 개혁ㆍTMT(기술ㆍ미디어ㆍ텔레콤)ㆍ국방ㆍ신에너지 등은 장기상승 추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반면 성장목표가 하향 설정되고 실제 GDP성장률이 7.0%에 가깝게 하락할 경우에는 경기방어주 성격의 필수소비재ㆍ유틸리티 등의 업종이 중국 증시를 주도할 공산이 크다. 올해 증시를 주도한 환경보호ㆍ국유기업 개혁 종목의 강세 현상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윤항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hiyun@truefriend.com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