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열 박사의 슬로우 경영학

그런대로 굴러 왔던 한국 기업들의 경영 상태가 암흑의 긴 터널 입구에 들어선 느낌마저 든다. 3분기 ‘어닝 쇼크’에 혼쭐이 난 기업들은 벌써 내년 걱정에 여념이 없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4대 그룹의 내년 경영 키워드가 ‘위기탈출(삼성)’, ‘내실경영(현대차)’, ‘구조개혁(SK)’, ‘내실성장(LG)’ 등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으로 앞이 보이지 않아 내년 사업계획에는 손도 못 대고 있다며 아우성이다.

▲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이 크게 줄어들었다. 시장은 충격적인 '어닝 쇼크'로 받아들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내 기업들의 비명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다.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실적부진이 깊어진 데다 연말연시를 앞두고 내년 경영 걱정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경제를 견인해 온 대표적 기업들의 실적 하락세는 그야말로 추풍낙엽秋風落葉 같다.  특히 삼성전자의 3분기 ‘어닝(실적) 쇼크’는 충격적이었다. 전 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이 각각 9.37%, 43.50%, 32.45% 줄었다. 지난해 동기보다는 각각 19.69%, 60%, 48.79%나 격감했다. 주력인 스마트폰 사업 부진 때문이다.

현대자동차의 경우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18.0%, 28.3% 크게 줄었다. 조선업계의 간판 현대중공업의 ‘실적 쇼크’도 두드러진다. 3분기 영업손실이 창립 이후 최악인 1조9346억원을 기록했고, 올 누적손실은 3조원을 넘어섰다.  한 증권사 조사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까지 3분기 실적을 발표한 135개 주요 상장사(시가총액의 52.9% 차지)의 합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6.7%나 감소했다.

2분기보다는 26.4% 줄었다. 간판급 기업들이 이럴진대 중견ㆍ중소기업들의 처지는 불 보듯 뻔할 것 같다. 휴대전화 부품업체들의 매출이 평균 30%나 격감했고, 조선 협력사들의 가동률이 40%에 불과하다는 얘기까지 들린다. 소위 대기업의 ‘경기 낙수 효과’가 사라지자 실적추락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최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는 이같은 기업들의 사정을 잘 말해 준다.

보고서는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 부진이 깊어지고 있다”며 “기업체질이 허약해진 상태에서 금리가 오르거나 외부 충격이 닥치면 10개 기업 중 3곳이 도산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지난 4월 “기업 재무건전성이 일부 미흡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양호하다”고 보고했던 것과는 무척 대조적이다. 그런대로 굴러 왔던 한국 기업들의 경영 상태가 암흑의 긴 터널 입구에 들어선 느낌마저 든다.

3분기 ‘어닝 쇼크’에 혼쭐이 난 기업들은 벌써 내년 걱정에 여념이 없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4대 그룹의 내년 경영 키워드가 ‘위기탈출(삼성)’, ‘내실경영(현대차)’, ‘구조개혁(SK)’, ‘내실성장(LG)’ 등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으로 앞이 보이지 않아 내년 사업계획에는 손도 못 대고 있다며 아우성이다. 중국의 성장 둔화(차이나 리스크), 미국의 돈줄 죄기(양적 완화 종료), 일본의 엔저 공습(환율 리스크) 등으로 기업들이 벼랑 끝에 내몰린 형국이다.

하기야 기업들이 ‘내년 경영이 신바람 나게 좋을 것’이라고 전망한 적이 있기나 했을까. 연말이면 으레 새해 경영에 위기의식을 불어넣고 분발을 촉구하는 게 다반사였기 때문. 때론 정부나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우호적인 기업정책을 이끌어내기 위한 ‘엄살’로까지 비쳤다.  하지만 이번만은 다른 것 같다.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 기업들이 내년에 수출 전쟁터에서의 화약 냄새에 더욱 노출될 전망이다.

기업 입장에서 볼 땐 국내 악재들도 만만찮다. 살아날 줄 모르는 경기, 반反기업정서와 각종 규제, 정치권의 기업 때리기, 늘어난 대기업 오너 사법처리, 법인세 인상 주장, 대ㆍ중소기업간 갈등 등등.  기업들은 이제 예전과는 다른 각오로 위기 극복에 나서야 할 때다. 숱한 역경을 딛고 살길을 개척해 온 저력을 되살려야 한다. 손쉬운 구조조정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기업마다 내부 혁신, 기술ㆍ신제품개발, 생산성 향상, 수출다변화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가계ㆍ정부 등 다른 경제 주체들과의 소통은 물론 기업 내부 소통에도 더욱 힘써야겠다. 아울러 정부의 경제 살리기 노력과 정치권의 민생경제 챙기기도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해졌다. 
이우열 건국대 경영대 겸임교수 ivenc@korea.com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