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금리인하에 숨은 포석

중국 정부가 기준금리 인하카드를 빼들었다. 대외경제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추가하락을 막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인다. 중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은 7.3%를 기록해 정부의 성장률 목표치인 7.5%를 밑돌 가능성이 커졌다. 소규모 부양정책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 중국 인민은행이 11월 22일 2년4개월만에 금리인하를 결정했다. 사진은 지난해 인도를 방문한 리처창 국무원총리(왼쪽 두번째)의 모습.[사진=뉴시스]

중국 인민은행이 지난 21일 금리인하를 전격적으로 발표했다. 중국의 기준금리 인하는 2012년 7월 이후 28개월 만이다.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 금리를 6.0%에서 5.6%로 낮췄고 예금금리는 3.0%에서 2.75%로 인하했다. 금융기관의 예금금리 적용 상한을 기준금리의 1.1배에서 1.2배로 상향조정했다. 유동성을 확보해 예상보다 부진한 중국의 경제성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중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7.3%를 기록해 정부의 성장률 목표치인 7.5%를 밑돌 가능성이 커졌다. 또한 지난 2분기 이후 시행한 소규모 경기부양책의 효과가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장은 그동안 개혁과 미세조정에 집중하던 중국이 금리인하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경기부양에 나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통화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일축했다. 중국인민은행은 “금리인하가 통화정책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이번 금리인하는 특정한 방향성을 갖지 않는 조치”라고 밝혔다.

시장의 반응은 달랐다. 당초 시장이 예상한 지급준비율 인하보다 효과가 큰 금리인하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채현기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하 조치를 선제적으로 시행한 이유는 인민은행의 미세조정에도 부동산 경기둔화에 따른 고정 자산투자와 소매판매 부진이 계속돼 경기 하강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어서다”며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4년8개월 내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물가 하락에 따른 실질금리의 상승 부담을 완화할 필요성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금리인하는 실물경제지표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전망이다. 유동성 공급악화와 부채상환 부담을 겪고 있던 기업의 숨통을 열어줄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인민은행은 최근 비전통적 방식인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와 담보보완대출(PSL) 이용해 조달 금리를 낮추려 했다. 하지만 은행권의 실질대출금리는 오히려 7.3%까지 상승했다. 김경환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내년 지방정부와 기업의 부채상환과 만기연장 부담을 줄여 신용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일 것”이라고 전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