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추가 금융완화 단행하나

중국 실물경기가 뚜렷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1~2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6.8%에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11~12월 이후 최저치다. 같은 기간 수출이 크게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내수부진으로 인해 실물경기가 둔화됐다는 얘기다. 중국 정부가 추가금융완화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 중국의 내수시장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GDP 성장률 7%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사진=뉴시스]
중국 실물경기가 전방위적 부진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의 추가 금융완화 조치가 예상되고 있다. 지난 1월과 2월 중국 실물경기를 살펴보면, 산업생산은 시장예상치인 7.6%에 못 미치는 6.8% 증가(전년 동기 대비)에 그쳤다. 2014년 12월 7.9% 증가율을 기록했다는 점에 비춰보면 큰폭으로 둔화된 셈이다. 이런 1~2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시작된 2008년 11~12월 이후 최저치다. 전월비 기준으로는 1월과 2월에 각각 0.47%, 0.45% 증가했다.

소매판매 증가폭도 예상보다 낮았다. 1~2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하는데 그쳐 2014년 12월 11.9% 증가율에 큰 폭으로 못 미쳤다. 이상재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춘제 특수에 따른 소매판매가 기대에 못 미쳤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1~2월 고장자산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3.9% 늘어났다. 하지만 이 역시 2014년 연간 증가율인 15.7%에 비해 큰 폭으로 둔화된 수치다. 시장예상치인 14.8%에도 못 미쳤다. 부동산 개발 투자액 또한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하는 데 머물러 지난해 연간 증가율 11.1%보다 둔화됐다.

 
반면 수출은 효자노릇을 톡톡히 했다. 1~2월 중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3% 늘어났다. 2014년 4분기 8.7%보다 6.6%포인트 증가했다. 종합해보면 수출은 증가했는데, 생산·소비·투자 등에서는 예상보다 심각한 부진을 보인 것이다. 이상재 애널리스트는 “1~2월 중국 산업생산의 증가세 둔화는 내수부진이 주도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인 7%선을 유지하는 것도 장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의 추가 금융완화조치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추가 금융완화조치는 하락세 제한용도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2월 28일 실물경기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1년 만기 위안화 대출금리를 5.35%로 25bp(0.25%) 인하하고, 예금기준금리도 2.50%로 25bp(0.25%) 전격 인하했다. 이는 2014년 11월 21일 정책금리 인하와 올해 2월 4일 지급준비율 50bp(0.50%) 인하에 이어 세번째로 단행한 금융완화 조치다.

또한 중국 재정부는 3월 10일 1조 위안(약 180조원) 규모의 지방정부 채무교환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고금리 채권의 차환발생을 통해 지방정부의 이자부담을 400억~500억 위안 줄이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이런 조치에도 내수부진이 이어지자 중국 정부는 지급준비율 인하를 포함한 추가금융완화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성장세가 꺾이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저속성장을 의미하는 신창타이新常態 시대의 개막을 공언해 왔다. 따라서 금융완화조치가 추가로 단행된다면 이는 경제성장세 확대용이 아닌 하락제한용일 가능성이 커보인다. 
이호 기자 rombo7@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