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희의 비만 Exit | 살과 사랑 이야기

▲ 마블링은 몸에 녹아들면 가차 없이 혈관을 파괴하는 기름 덩어리에 불과하다. [사진=아이클릭아트]
한이 맺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한국인의 고기사랑은 각별하다. 잘 먹어야 기운이 넘쳐 일도 잘한다는 생각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어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고깃집, 갈빗집은 손님들로 넘쳐난다. 저마다 가위며 집게를 전사처럼 들고 굽고, 태우고, 잘라가며 부지런히 먹는다.

세계 그 어느 곳을 가도 우리처럼 고깃집이 불야성에 문전성시를 이루는 곳은 찾아보기 힘들다. 작은 회사를 경영하는 필자는 사람과 일에 대한 평가를 정확히 할 수 있는 능력을 경영자의 최대 덕목으로 꼽는다.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 어쭙잖은 철학이 대형 식당을 가게 되면 그 식당의 규모를 가늠하는 버릇을 만들었다.

일부러 화장실을 가는 척하며 종업원의 수를 세어 본다든지,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주방의 동선을 예의주시하기도 한다. 심지어 식사를 돕는 종업원에게 이 땅이 몇평이며 일일 매출이 얼마인가를 묻다가 아내에게 핀잔을 듣기도 한다. 고깃집에 들어오면 고기나 열심히 먹고 가는 게 손님의 최대 덕목이라는 비아냥과 함께 말이다. 물론 열심히 먹어야 하겠지만 차림표를 받으면 상황이 달라진다.

상단의 바로 아래 메뉴는 금박 글씨의 특등급 한우고긴데 손바닥 만한 두점의 값이 웬만한 알바생의 하루 일당과 맞먹는다. 그곳을 호기롭게 가리키는 아내의 통통한 손가락을 필자는 하단의 돼지갈비 쪽으로 끌어내린다. “너희들이 그러면 그렇지”라는 듯 주문을 받고 돌아서는 종업원의 뒷모습이 쌀쌀맞게 느껴진다.

아내가 손가락으로 가리킨 한우고기 옆에는 플러스 두개가 나란히 붙어 있다. 최상품을 의미하는 플러스 두개는 기름이 많다는 뜻이다. 인간들은 풀 먹던 동물에게 곡물을 먹이고 운동을 제한해 단단하게 근육질을 유지해야 할 살덩어리를 물컹물컹한 기름 덩어리로 만들었다. 만약 그 기름에 손을 담갔다 빼면 흰 장갑을 낀 듯 포화지방이 달라붙을 것이다.

그 고기를 먹고 추운 곳에서 입을 벌리면 입천장이 촛농으로 코팅된 느낌을 받는다. 찍어 먹는 장 또한 이내 허연 기름으로 뒤덮인다. 몸에 녹아들면 가차 없이 혈관을 파괴하는 기름 덩어리를 팔아먹기 위해 이런 인조고기(?)를 만든 자들은 ‘황금 마블링 한우’ ‘초특급 최상품 한우’ ‘대한민국 명품한우’ 등 각종 미사여구를 갖다 붙였다.

이런 고기는 값이 비싸 서민들이 자주 먹기 어려운데, 건강 측면에선 되레 다행스러운 일이다. 원래 고기라는 것은 근 세포의 기본 구성이 탄탄해야 한다. 풀을 먹고 방목한 소들의 육질은 팍팍하다 못해 칼질도 어렵다. 근막을 끊어내기 위해 저작을 잘해야 하는 순수 살코기와 값비싼 지방덩어리 중 어떤 것이 우리 몸에 유용할까. 답은 뻔하다.
박창희 다이어트프로그래머 hankookjoa@hanmail.net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