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희의 비만 Exit | 살과 사랑 이야기

▲ 하루의 첫 식사를 언제하는 게 좋은지는 풀리지 않는 논쟁거리다.[사진=아이클릭아트]
비만과 건강에 관한 질문 중 아침을 먹는 것이 좋은지, 하루의 첫 식사를 점심부터 해도 되는지 묻는 분들이 많다. 명확한 답을 주기 위해선 100% 똑 부러지게 떨어지는 정답이 있어야 하는데, 이게 영 그렇지 않다. 필자가 즐기는 논리는 대개 이런 식이다. “과거의 습성이 이러했기 때문에 우리 몸이 거기에 부합하도록 행위를 하는 게 맞다.”

과거 해가 떨어지면 암흑천지가 되어 일찍 잠들었으니 현재의 우리도 밤에 늦게 자면 건강상 불리할 것으로 유추하는 방식이다. 결국, 유전자의 적응 방식을 좇다 보면 건강을 지키는 답이 어렴풋이 보인다. 예전에는 들어 있지 않았을 방부제나 첨가물이 함유된 음식을 피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이 논리는 하루 세끼를 챙기는 것이 건강에 유용하냐는 질문에는 탁 막힌다. 그래서인지 하루에 몇 식을 할 것이냐는 일반인은 물론 전문가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대부분 논리와 설득력을 갖춘 주장이라 선뜻 어느 쪽에 줄을 서기도 쉽지 않다. 분명한 건 유사 이래 인간이 시계를 들여다보며 하루 세끼를 꼬박꼬박 챙기지는 못했다는 거다. 산업혁명 이후 노동자 계급의 출현과 학교, 그리고 직장 생활의 보편화 등으로 3끼 식사가 규칙처럼 되었지만, 현재도 많은 사람이 두끼 식사로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따뜻한 ‘밥’ 한 그릇을 운명처럼 여기는 우리는 과거 몇 끼의 식사를 했을까. 한국인에게 밥은 단순히 식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밥의 힘을 빌리고, 밥값을 벌기 위해 살아온 우리에게 밥은 역사ㆍ생활ㆍ문화 등 모든 것을 총망라하는 운명과도 같은 상징적 의미가 있다. 인류의 역사는 굶주림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용할 양식으로 시작하는 주기도문과 식사하셨냐는 인사는 두 끼는커녕 하루 한 끼조차 제대로 먹지 못했던 장구한 세월이 최근까지 이어졌음을 잘 보여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음식을 풍족히 먹을 수 있는 능력은 곧 권력이었다. 과장된 측면이 있겠지만, 삼국유사에 나와 있는 김춘추의 하루 식사량은 쌀 여섯 말에 꿩 열 마리다. 일하는 자와 먹는 자의 차이가 바로 계급이었으니 제대로 먹지도 못하는 농민은 허리가 휘게 일하고 양반들은 그 쌀로 술을 빚어 유유자적하였다.

사정이 이러하니, 백성들의 밥을 챙기는 것이 위정자의 도리였다. 세월이 흘러도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선거철마다 우리 사회에 밥을 거저 주느냐 마느냐의 논쟁과 갈등이 반복된다. ‘공짜 점심을 주겠다’며 표를 받은 후 언제 그랬냐는 듯 사회적 합의를 뒤집기도 한다. 학생들의 밥값을 다시 걷으려면 자신의 표값부터 뱉어야 할 일 아닌가. 어찌 되었거나 밥은 건강 차원이든, 정책 차원이든 논란거리임에 분명하다. 몇 끼 식사가 건강에 이로운지 다음호에 살펴보자. <다음호에 계속>
박창희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hankookjoa@hanmail.net | 더스쿠프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