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백 서비스 갑론을박

▲ 금감원이 편의점 등에서 물건 구매와 함께 현금을 찾을 수 있는‘캐시백 서비스’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사진=뉴시스]

물건을 사면서 현금을 찾을 수 있는 ‘캐시백 서비스’ 도입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편의성을 높일 수 있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이 이용할지는 의문이기 때문이다. 한쪽에선 현금 없는 사회(cashless), 다른 한쪽에선 ‘캐시백’의 도입을 주장하니,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할지 모르겠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다.” “신용카드 등 비현금 결제가 현금결제를 추월한 만큼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없는 곳에서도 현금 인출이 가능한 ‘캐시백(cashback) 서비스’ 도입을 두고 갑론을박이 팽팽하다. 금융감독원은 ‘제2차 국민체감 20대 금융관행 개혁’ 방안 중 하나로 편의점ㆍ마트 등에서 물품대금을 결제할 때 소액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일례로 5000원짜리 상품을 구입하고 5만5000원을 결제하면 물품과 함께 5만원을 현금으로 주는 방식이다.

금감원은 “주요국에서 도입된 서비스가 국내에서는 아직 도입되지 않았다”면서 “은행이 ATM을 축소하고 있고 밴(VAN)사가 운영하는 ATM은 수수료가 비싸 소비자 편의성 측면에서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말했다. 시장은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효찬 여신금융연구소 실장은 “현금을 찾기 위해 ATM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 것”이라며 “활성화 여부를 떠나 금융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데는 큰 도움이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캐시백 서비스’를 도입하면 편의점마트 등의 업무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현금 인출 서비스 도입이 고객의 증가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면서도 “하지만 캐시백 서비스로 응대 시간이 길어지면 고객의 불만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매출로 인식되지도 않는 업무를 누가 적극적으로 도입할지도 의문”이라고 꼬집은 뒤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누구에게 부과할지도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편의성만큼 이용자가 늘어날지도 의문이다. 현금을 찾을 수 있는 ATM은 충분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시중은행의 AMT은 4만8045대에 달한다. 은행의 ATM이 최근 감소세인 건 사실이지만 VAN사의 ATM이 2010년 2만5063대에서 지난해 6월 3만9618로 증가하며 이를 보완하고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마트와 편의점이 ATM을 보유하고 있다. 굳이 물건을 사지 않아도 얼마든지 현금을 찾을 수 있다는 얘기다.

‘현금 없는 사회(Cashless Society)’로의 변화라는 시대적인 흐름과도 맞지 않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핀테크(Fintech) 열풍, 비현금 결제 수단의 발달로 현금 결제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서다. 현금을 사용하는 경우가 결혼식장례식 등 축의금과 조의금을 낼 때가 전부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미국, 호주 등은 나라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은행이 없고 현금을 많이 사용하던 과거에 이 제도를 도입했다”며 “한국도 현금 없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만큼 ‘캐시백 서비스’는 과도기의 혼란을 보완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데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편에선 핀테크를 중심으로 한 비현금 결제 수단의 발전을 강조하면서 다른 한편에선 고객 편의를 위한 캐시백 도입을 얘기하고 있다”며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고민”이라고 밝혔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