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금융국장

저축은행 사태 이후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그럼에도 저축은행을 둘러싼 그림자는 사라지지 않고 있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금융국장은 “저축은행이 본연의 모습인 ‘지역 밀착형 금융’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에 저축은행의 해답이 있다는 얘기다.

▲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금융국장은 "우리는 언제든 제2의 저축은행 사태를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사진=지정훈 기자]

✚ 저축은행 사태가 발생한 지 5년이 지났다. 저축은행 업계는 어떻게 변했는가.
“업계도 대규모 부실 사태로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이를 회복하려고 그간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나섰다. 골드바 판매 대행, 방카슈랑스, 체크카드 등 비이자 사업도 확대했다. 이런 변화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저축은행은 꼭 필요하지 않겠는가. 그렇다고 저축은행 업계에 문제가 없는 건 아니다.”

✚ 무엇이 문제인가.
“일단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은행권 가계대출 심사가 강화되면서 생활자금이 필요한 서민 중 일부가 저축은행으로 흘러들어간 셈이다. 서민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이 가계대출에 관심을 갖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문제는 이들의 가계대출 이자가 연 20%를 훌쩍 웃도는 고금리라는 점이다.”

✚ 부채의 질을 걱정하는 건가.
“그렇다. 고금리 대출이 늘어나면 가계부채의 질이 나빠진다. 만약 돈을 빌린 서민들이 빚의 수렁에 빠져 개인회생과 파산을 신청하면 저축은행 부실은 언제든 또 발생할 수 있다.”

✚ 제2의 저축은행 사태가 또 터질 수 있다는 건가.
“저축은행을 둘러싼 경제 여건이 좋지 않다. 정치권이 법정 최고금리를 낮추고 있는데다 인터넷전문은행까지 등장했다. 제1금융마저 10%대 중금리 대출을 확대하고 있다. 저축은행 입장에선 고객을 뺏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저축은행을 둘러싼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거다.”

✚ 정부의 구조조정 작업이 저축은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잘 지적했다. 중소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저축은행의 건전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많은 구조조정 대상자가 저축은행의 대출을 받았을 공산이 커서다.

✚ 이런 맥락에서 규제를 풀어달라는 업계의 주장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저축은행 사태 이후 생긴 규제는 자신들의 업보業報다. 수익성ㆍ이미지 개선은 순전히 저축은행 업계의 손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

✚ 규제완화가 아닌 다른 방법이 있는가.
“저축은행에 문제가 있다고 저축은행 자체를 없앨 수는 없다. 서민금융기관이라는 확실한 롤을 갖고 있어서다. 이들이 없으면 제1금융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서민들이 사채시장으로 몰릴 것이다. 물론 해결 방법은 있다. 저축은행의 본연의 모습인 ‘지역 밀착형 금융’으로 나아가는 거다. 지역사회 고객과 유대관계를 구축해 평판, 가족환경, 성품 등의 정성적 정보를 대출 시 활용하는 것이다.”

✚ 사실 이런 전략이 제1금융과의 차별화 포인트다.
“당연하다. 특화 전략을 통해 새로운 사업 영역도 개척할 수 있다. 시중은행과 같은 영업방식으로는 살아남기 어렵다.”

✚ 정부는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
“일단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현황을 점검하는 등 잠재위험 요인을 파악해둘 필요가 있다. 또한 금융당국은 지난 저축은행 사태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모럴 해저드를 견제해야 한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