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눈이의 실전재테크

노후 준비는 철저할수록 좋다. 여유자금이 많다고 노후가 준비되는 것도 아니다. 자금을 어떻게 관리하고 통제하느냐에 따라 노후가 행복할 수도, 불행할 수도 있다. 여기 자린고비로 소문난 40대 직장인 강희진(가명ㆍ44)가 있다. 그는 예ㆍ적금도 있고, 투자형 부동산도 보유하고 있다. 그런데 노후는 불안정하다.

▲ 노후준비를 할 때도 자신의 투자성향을 고려해 투자에 나서야 한다.[사진=아이클릭아트]

돈을 모으는 가장 좋은 방법은 최대한 아끼고 최대한 많이 저축하는 것이다. 여기에 제대로 된 재테크까지 더해지면 자산 증식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 게다가 지금은 저축만으로는 자산 증식이 어려운 저금리 시대다. 싱글라이프를 즐기는 44세 직장인 강희진씨는 전형적인 자린고비다. 하지만 아끼는 것에 비해 자산이 늘지 않아 불만이 많다. 아끼기만 하는 걸로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하긴 어렵기 때문이다.

강씨는 가정형편상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쫓기듯 중소기업에 취업했다. 임금은 많지 않았지만 ‘절약’을 통해 전셋집을 얻은 것은 물론 작은 빌라도 장만했다. 우선 강씨의 가계부를 살펴보자. 강씨의 소득은 255만원이다. 지출내역은 간단하다.

고정지출로는 현재 거주 중인 주택의 월세(반전세) 40만원, 생활비 50만원이 전부다. 경조사비를 포함한 비정기지출로 평균 17만원을 사용하고 있다. 얼마전까지 납입하던 적금, 펀드 등은 만기가 도래해 주택청약저축 2만원 이외에는 비소비성 지출이 없다. 그 결과, 매월 146만원의 잉여자금이 발생하고 있다.

다음은 강씨의 자산현황이다. 부동산으로는 현재 살고 있는 반전세 보증금 6000만원, 투자용으로 매입한 빌라 1억5000만원(27.75㎡ㆍ약 9평)이 있다. 여기에 예ㆍ적금으로 마련한 안전자산은 3076만원, 펀드투자자산은 2122만원이다. 강씨의 장단기 재무목표는 크게 세가지다. 첫째, 계약만료가 다가오는 반전세 보증금을 1000만원 더 만들어야 한다.

집주인이 인상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둘째는 노후준비, 마지막은 투자를 위한 종잣돈 마련이다. 강씨의 지출 항목은 군더더기가 없을 만큼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게다가 투자형 부동산을 만들어 놓을 만큼 자사현황도 넉넉한 편이다.

하지만 지금의 자산이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길어진 노후 기간을 생각할 때 안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향후 10년 안에 소득 활동이 중단될 가능성도 있어서다. 이에 따라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내 임대수익이나 금융소득을 통해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어야 한다. 문제는 노후를 대비할 수 있는 항목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펀드 같은 경우 나름 공격적인 포지션을 갖고 투자에 나서고 있지만 미래 수익을 보장할 수는 없기 때문에 노후준비로 사용하기엔 부적절하다.

성향 고려해 투자해야

우선 부동산 부분을 살펴보자. 강씨는 보증금 6000만원 월세 40만원의 반전세에 살면서 투자형 부동산으로 빌라를 보유하고 있고, 그 빌라엔 전세를 줬다. 이 빌라는 상권에 있어 투자가치가 있다. 하지만 임대수익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월세가 아닌 전세로 임대해 재무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에는 반전세를 정리하고 거주지를 투자형 부동산으로 돌리는 게 훨씬 유리하다. 월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강씨가 매월 지출하고 있는 월세를 아끼는 게 더 이익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빌라의 계약기간과 현재 거주하는 집의 전세계약기간이 비슷해 주거공백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문제는 세입자에게 줘야 할 전세자금 8000만원인데, 거주지 전세보증금(6000만원)과 펀드투자자산(2122만원) 환매로 능히 마련할 수 있다. 장씨로선 월세로 내던 40만원을 아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셈이다.

예ㆍ적금자산 3076만원은 강씨의 투자성향을 고려해 안정적이면서 3~5%대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환매조건부채권과 국ㆍ공채 상품에 투자하기로 했다. 주택청약저축 2만원은 향후 부동산 투자 가능성을 고려해 유지하도록 조언했다.

이제 매월 발생하는 잉여자금 146만원의 활용방법이다. 강씨는 이 돈으로 10년 안에 노후자금과 종잣돈을 만들어야 한다. 우선 매월 50만원은 연금에, 96만원은 두개의 적금(1년 만기, 3년 만기)에 넣었다. 강씨의 경우 노후준비가 늦은 만큼 잉여자금을 모두 노후준비로 돌리는 게 맞다.

하지만 강씨의 경우 투자 경력이 짧은데다 투자성향이 안전형에 가까워 무리한 투자를 지양했다. 다만 주거지를 옮긴 이후 발생한 여유자금 40만원(월세)은 공격형 자산에 투자할 계획이다. 안전형 투자를 보완할 수단이 필하기 때문이다.

40만원을 7%대 수익으로 13년간 투자하면 1억원이라는 자금을 모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투자형 빌라에 거주하면서 다른 투자도 가능해진다. 이처럼 노후자금을 마련할 땐 전략적으로 안정적인 연금소득과 수익형 부동산의 적절한 분배ㆍ조정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무리한 지출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면 현금흐름을 안정적으로 잡는 게 중요하다. 어떤 경우든 노후준비는 만만하지 않다.
천눈이 한국경제교육원 수석연구원 crimsonnunn@naver.com | 더스쿠프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