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평창 올림픽 재정위기 괜찮나

2016년 브라질 리우 올림픽,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올림픽의 저주’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은 빅 이벤트 이후에는 경기가 하락할 가능성이 커서다. 이는 역대 올림픽의 결과만 놓고 봐도 알 수 있다. 문제는 2018 평창 올림픽 역시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를 치른 이후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사진=뉴시스]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는 국가의 위상을 단숨에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개최지로 결정되면 수십조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이 쏟아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과도한 투자비용에 비해 실익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이른바 ‘올림픽의 저주’에 빠지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얘기다.

실제로 약 12억 달러(약 1조3485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은 올림픽의 저주를 얘기할 때 인용되는 대표적인 사례다. 캐나다는 경기장 건설 등으로 발생한 부채를 갚기 위해 이후 30년간 특별세를 거둬야 했다. 또한 2004년 그리스 아테네 올림픽도 당시 그리스 국내총생산(GDP)에 3.9%에 달하는 90억 달러(약 10조114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후 전문가들은 그리스 재정위기의 원인을 108년 만에 출생지에서 치러진 아테네 올림픽으로 지목하고 있다.

하계 올림픽보다 대회 규모와 참가국이 적은 동계올림픽은 ‘올림픽의 저주’에 더 쉽게 빠질 수 있다. 대표적 사례는 110억 달러(12조3618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1998년 일본 나가노 올림픽이다. 나가노 올림픽은 대회에 필요한 시설을 대부분 새로 지으면서 막대한 적자를 기록했다. 올림픽 이후 남은 경기장이 애물단지가 됐기 때문이다. 그 결과, 1985년 올림픽 유치 시작 당시 1500억엔(약 1조6138억원)이었던 빚은 올림픽 이후 1조800억엔(약 11조6196억원)으로 10배 가까이 늘어났고 아직까지 빚을 갚고 있다.

그렇다면 가장 최근 개최된 2014년 러시아 소치 올림픽의 성적표는 어떨까. 지난 2014년 러시아의 경제전망은 어두웠다. 국제통화기금(IMF)·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러시아의 2014년 경제성장률을 2.0%, 2.2%로 예상했다. 기존 2011년 4.2%, 2012년 3.5%에 비해 크게 둔화된 수치였다. 하지만 2013년 경제성장률인 1.3%를 생각하면 희망적인 수치였다. 소치 올림픽이 중국 경기둔화와 원자재가격 하락으로 활력을 잃어 가던 러시아 경제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예상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러시아는 소치 올림픽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인구 40만명의 소도시 소치에 투입된 자금은 500억 달러(약 56조1500억원)에 달했다. 이는 역대 올림픽 사상 최고 금액으로 종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던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400억 달러(약 44조9520억원)를 훌쩍 뛰어넘는 액수였다. 전문가들은 막대한 비용이 러시아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망 밑도는 올림픽 효과

그리고 이런 우려는 현실이 됐다. 올림픽 효과는 크지 않았고 가치 상승을 기대했던 루블화는 약세로 돌아섰다. 게다가 블룸버그 통신은 러시아가 소치에 사후 활용도가 높지 않은 동계 스포츠 시설물 14개를 관리하는 데 연간 17억~22억 달러(약 1조9060억~2조466억원)의 유지비용이 필요하다고 예상했다. 러시아의 2014년과 지난해 경제성장률도 당초 예상과 크게 빗나갔다. 러시아는 2014년과 2015년 각각 0.7%, -3.7%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올림픽 개최 전 예상했던 1.3~ 1.5%포인트 낮은 수치다. 물론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경제제재, 저유가의 영향을 받은 건 사실이지만 소치올림픽이 ‘올림픽의 저주’를 비껴나갔다고 말하긴 어렵다.

2년 앞으로 다가온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제대로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자칫하다간 역대 다수의 사례처럼 올림픽의 저주에 빠져들 수 있어서다. 이는 ‘침체의 늪’에 빠져 있는 한국경제에 독으로 작용할 수 있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중국의 경기 둔화 등 대외적인 리스크는 즐비하다.

▲ 2018년 평찰올림픽의 과잉 투자 논란이 일고 있다.[사진=뉴시스]
내수소비는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고 수출 역시 부진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2년 후인 2018년 경제 상황이 지금보다 좋아질 거란 보장도 없다. 이미 글로벌 경제는 저성장 기조인 ‘뉴 노멀’ 시대에 진입했다. 과거와 같은 화려한 성장세를 기대하긴 어렵다. 올림픽을 치르고 재정난에 빠진 그리스의 사례가 남의 일이 아니라는 얘기다.

문제는 평창 올림픽의 준비 과정이 매끄럽지 않다는 데 있다. 이미 과잉투자 논란이 일면서 ‘돈 먹는 하마’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등장했다. 예산은 당초 예상했던 8조8000어원에서 13조원으로 47%(4조2000억원) 증가했다. 올 하반기 침체에 빠진 경제를 살리기 위해 편성한 추가경정예산의 규모가 10조원 내외라는 것을 감안하면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이다. 최근에는 평창올림픽 사업비가 부족할 수 있다는 감사원의 감사결과가 등장해 논란을 일으켰다. 감사원은 지난 7월 20일 ‘평창동계올림픽 준비실태 점검’을 통해 사업에 필요한 지출액은 줄이고 수입은 늘려 계산해 최소 2244억원의 사업비가 부족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올림픽 열차가 운행되는 경의선·중앙선 등의 선로 여유 용량을 검토하지 않고 올림픽 열차 투입 계획을 세운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도 1226억원 들여 인구 4000명이 사는 강원도 횡계리에 3만5000석 규모의 개·폐회식장을 새로 만들고 600억원을 들여 식수전용 댐을 짓는 등 과잉 투자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전문가들은 흑자 올림픽을 치른 미국의 솔트레이크시티를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솔트레이크시티의 11개 경기장 중 새로 지은 건물은 3개에 불과했다. 또한 선수 숙소로 인근 대학교의 기숙사를 활용하는 등 지출을 최소화했다. 녹색연합은 “기존시설 활용을 전제한 분산개최라는 절호의 기회를 강원도와 조직위가 내쳐버린 순간부터 예산문제와 안전성 문제는 당연한 수순이었다”며 “이제 남은 것이라곤 소 잃고 외양간 고칠 일뿐”이라고 꼬집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