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老人-오랜 경험, 깊은 지혜 展

▲ ❶농부의 공책과 일기 ❷시계수리공의 100년 넘은 망치
농부는 소소한 일상을 공책에 적었고, 시계 수리공은 100년이 넘은 망치를 두드린다. 대나무 곡자가 자꾸 갈라져 쇠로 된 것을 쓴다는 재단사와 60년을 했는데도 여전히 배우는 게 많다는 대장장이. 이들의 평균 나이는 78.8세다. 소외되는 노인들이 갈수록 늘어가는 고령화 시대에서 이들은 여전히 일한다.

아프리카에 ‘노인 한 사람이 죽으면 도서관 하나가 불타는 것과 같다’는 속담이 있다. 노인의 오랜 경험과 깊은 지혜를 도서관에 비유한 속담이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노인老人-오랜 경험, 깊은 지혜’ 전시회는 평범하지만 특별한, 특별하지만 또 평범한 노인 4명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농부 임대규(82)씨는 59년간 공책과 달력에 자신의 일상을 기록했다. “농사를 짓기 위해 처음 기록을 시작했다”는 임씨가 그렇게 기록한 공책과 달력은 방 두칸에 보관할 정도로 그 양이 어마어마하다. 이번 전시에서는 1952년의 농사일기부터 1988년 서울올림픽을 기록한 달력도 볼 수 있다.

시계수리공인 오태준(82)씨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100년이 넘은 망치로 시계를 수리한다. “나보다 망치 나이가 더 많아요.” 아버지에게 망치를 물려받은 오씨는 ‘드라이버’ ‘줏대’가 아들에게도 물려지기를 바란다.

▲ ❸재단사의 양복 제작 치수 도구 ❹대장장이의 모루와 망치
이경주(72) 씨도 아버지의 가업과 기술을 물려받아 재단사로 평생을 살았다. 익숙해질 법도 한데 그는 여전히 손님이 만족할 수 있는 양복을 제작하는 일이 시험 보는 것 같다. “옷을 다 만들어놓고 손님을 기다리는 일이 꼭 시험보고 점수를 기다리는 것 같지 뭐야.” 하도 써서 대나무 곡자는 자꾸 갈라진다. 그래서 이씨는 쇠로 된 것을 사서 쓴다.

“기술이라는 건 끝이 없어. 60년도 더 했는데 아직도 나는 완성되지 않았지. 나는 지금도 배우고 있는 게 많아.” 대장장이 박경원(79)씨는 일하는 게 가장 행복하다. 하루 종일 일하다보면 딴 생각할 겨를이 없고, 도끼를 만들어서 자루에 딱 끼우면 그렇게 행복할 수가 없다.

전시에는 4명의 노인들이 평생을 사용해온 ‘모루’ ‘드라이버’ ‘곡자’ 등 손때 묻은 도구와 달력일기 등의 기록물이 소개된다. 객원 큐레이터도 실버 지하철 택배원 조용문(76)씨가 맡았다. 전시장 내 영상실에선 노인이 직접 제작한 영화도 상영된다. 박종익(65)씨가 제작한 ‘어머니! 오야!’와 변영희(69)씨가 만든 ‘우리집 진돌이’는 서울노인영화제에서 각각 우수상(2013)과 대상(2014)을 수상한 작품이다. 노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노인 문제를 엿볼 수 있다. 이밖에 노인으로 이뤄진 밴드의 공연, 시니어 바리스타 커피 시음회도 준비돼 있다. 전시는 11월 8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Ⅱ에서 만날 수 있다.
김미란 더스쿠프 기자 lamer@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