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하면…

▲ 미국이 12월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사진=뉴시스]

미국의 12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트럼플레이션(트럼프+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가 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문제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한국경제에 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달러 강세에 따른 자본 유출, 금리 인상으로 인한 가계부채 부실화가 현실화될 수 있어서다.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등장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내세운 인프라 투자를 위한 재정확대 공약으로 물가가 오를 수 있다는 ‘트럼플레이션(트럼프+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역시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다.

실제로 재닛 옐런 연준의장은 지난 17일(현시시간) 미 의회 합동경제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기준금리 인상이 비교적 이른 시점에 이뤄질 수 있다”며 “금리를 현 수준에서 너무 오래 유지하면 위험 선호 현상을 부추기고 금융 안전성을 해칠 수 있다”고 밝혔다. 

시장의 전망도 다르지 않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월 14일(현지시간)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96.5%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10월 조사 결과인 83.1%에 비해 13.4%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블룸버그가 실시한 조사에서도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96.0%로 선거 이전의 80.0% 대비 크게 올랐다. 

문제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에는 재앙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 현상이 이어지면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이 가속화할 수 있어서다. 이런 우려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 열흘간(11월 8일~18일) 아시아 신흥국 금융시장(주식시장ㆍ채권시장)에선 110억 달러(약 12조9305억원)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국내 증권시장(코스피)도 마찬가지다. 외국인 투자자는 11월 들어 1조3000억원(11월 23일 기준)의 순매도세를 기록했다.

더 큰 문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가계부채 부실화의 단초로 작용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우리나라도 금리 인상에 나설 수밖에 없다. 이는 13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뇌관에 불을 붙일지 모른다. 단순계산으로 시중금리가 1.0%만 올라도 갚아야 할 이자가 연간 13조원이나 증가하기 때문이다. 금리 인상이 저신용ㆍ저소득층 등의 취약계층의 대출 연체나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미국의 금리인상에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중경 한국공인회계사회장은 지난 22일 열린 ‘하나금융투자 리서치포럼’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이 재정지출 확대를 통한 인프라 투자와 배치되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미국 경제에 필요하다고 느끼면 얼마든지 인상에 나설 수 있는 만큼 금리인상 가능성은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