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푸어 리스크

▲ 초이노믹스 이후 주택담보대출 잔액의 규모가 크게 늘었다.[사진=뉴시스]
2018년 입주대란이 예상되면서 집값이 하락하고 주택거래량이 감소할 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집값이 떨어지는 건 반길 일이다. 하지만 2년 전 무리하게 빚을 내 집을 산 사람들은 예외다. 집값은 떨어지고 금리가 상승하면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이들이 속출할 가능성이 있다. 우리는 이들을 ‘하우스푸어’라 부른다.

직장인 김현기(가명ㆍ37)씨는 지난해 3월 서울의 한 아파트를 샀다. 곧 아이가 태어나는데다 치솟는 전세금이 버거워 큰 맘 먹고 매매한 것이다. 물론 주택담보대출을 꽉꽉 채워 받고, 모자란 부분은 신용대출을 받았다.

하지만 내집이 생겼다는 기쁨을 누릴 새도 없이 최근 김씨의 얼굴엔 근심이 가득 찼다.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생활비를 줄여가며 간신히 대출금을 갚아나가던 김씨에겐 날벼락 같은 얘기다.

실제로 지난해 8월 이후로 코픽스(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는 반등하기 시작했다. 곧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도 상승할 거라는 얘기다. 문제는 부동산에 몰린 가계부채 규모가 그 어느 때보다 크다는 점이다. “‘하우스푸어’ 대란이 일었던 2011년보다 여파가 클 것이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2016년 3분기 기준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544조3189억원으로 2011년 392조54억원보다 152조3135억원이 많다. 최승섭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동산ㆍ국책사업감시팀장은 “2011년 영종도ㆍ청라지역은 투자 목적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하지만 이번엔 ‘지금 안 사면 영영 못살 것’이라며 조바심을 유도한 정부 정책의 피해자들이 대부분이라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고준영 더스쿠프 기자 shamandn2@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