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변수 美 기준금리 인상

▲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사진=뉴시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올해 세계경제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최대 변수 중 하나다. 인상 속도에 따라 세계경제가 일시적으로 얼어붙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가 가파른 금리인상에 제동을 걸 것이라는 주장이다. 시장이 옐런의 말보다 트럼프의 행동에 예민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기준금리는 계속 인상될 것이다.” 지난해 12월 열린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형성된 시장의 믿음이다. 금리인상을 뒷받침하는 경기 회복세도 뚜렷해지고 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지난 1월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PMI) 지수(기준선=50)는 56.0을 기록했다. 2014년 11월 이추 최고치로 5개월 연속 상승세다.

고용지수(기준선=50)는 12월 52.8에서 56.1 크게 상승했다. 실업률 역시 지난해 12월 4.7%로 완전 고용 수준에 가까워졌고 물가상승률은 목표치(2%)를 향해 순항하고 있다. 시장이 ‘금리인상’이 아닌 ‘인상속도’에 더 관심을 쏟고 있는 까닭이다. 금리인상 속도가 빠를 경우 글로벌 경기가 급격하게 얼어붙을 수 있어서다. 지난 1월 금리인상 속도를 연 3회로 올리겠다는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시장 심리가 위축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의 의견은 조금 다르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가파르게 진행되진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이창목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오는 6월과 12월 두번의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시장의 예상처럼 점진적 인상 수순을 밟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금리 인상의 불확실성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며 “시장의 예상과 다르게 전개되면 큰 충격을 줄 수도 있다”고 꼬집었다.

금리 인상의 속도를 조절할 거라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옐런 의장이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선언한데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가 금리인상을 억제할 수 있어서다. 조익재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금리인상 요인은 충분하지만 세번 인상하는 것은 부담스러울 것”이라면서 “미국 경기가 가파르게 개선되고 있어 금리를 인상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속도는 조절할 듯하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건 옐런의 ‘입’이 아니라 트럼프의 ‘행동’이다. 이번 기준금리 동결에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있어서다. 실제로 트럼프는 지난 1월 자국기업을 어렵게 하는 달러 강세가 지나치다고 언급했다. 사실상 금리인상론에 제동을 건 셈이다. 조용준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 “6월에 한번 이후에 한두번의 금리 인상이 이뤄질 수 있지만 예단하긴 어렵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나오느냐를 봐야 예측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