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파산, 남은 과제들

▲ 한진해운 파산과정이 순조롭지만은 않을 전망이다.[사진=뉴시스]
원래 일을 벌이는 것보다 치우는 게 더 귀찮고 어려운 법이다. 기업의 청산도 마찬가지다. 한진해운이 창립 40년 만에 파산을 선고받았다. 빚잔치만 하면 될 것 같지만 결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빚잔치 과정에서도 수많은 이해당사자가 있고, 자칫 불만이라도 생기면 또다른 문제로 번지기 때문이다.

“한진해운 청산과정이 매끄럽지 못할 경우, 그 여파가 또다른 곳으로 번져갈 수 있다.” 한진해운 청산 과정에서 나오는 우려들이다. 일단 부채 수치부터 논란거리다. 채권자들이 법원에 신고한 채권액은 대략 31조원인데, 한진해운은 이 가운데 3조4185억원만 인정하고 있다. 때문에 채무액은 더 늘어날 공산이 크다. 추가 부실이 나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청산 절차를 어떻게 밟느냐에 따라 채권자들의 이해득실도 달라진다. 파산 과정이 순조롭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실업 문제도 있다. 한진해운 직원 중 일부는 SM상선(약 250명)으로, 또 일부는 현대상선(131명+추가)과 한진그룹(20명)으로 이직했다. 하지만 나머지 인력들은 마땅한 대안이 없다. 해운업 유관 업체들마저 구조조정에 나선다면 피해규모는 더 커진다. 전문가들은 최대 1만명의 실업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진해운 파산의 책임 소재를 가리는 것도 일이다. 물론 한진해운이 어려워진 근본 원인은 해운업 불황이지만 고액 용선료로 장기계약을 하고, 우량자산을 빼돌리며, 사재출연을 거부한 오너와 경영진의 패착도 무시할 수 없어서다. 물류대란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 정부도 마찬가지다. 청산이 끝나도 논란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해운업의 미래비전을 어떻게 설정할거냐 하는 문제도 남는다. 아시아-북미 화물은 이미 덴마크 머스크와 스위스 MSC로 옮겨갔고, 국적선사로서 현대상선의 어깨는 더 무거워졌다.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을 보완책 마련도 시급하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