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전등화 면세점

▲ 중국 정부가 한국행 관광상품 판매를 전면 금지하면서 면세점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사진=뉴시스]

‘황금알’을 낳던 면세점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로 면세점의 돈줄인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가 발길을 뚝 끊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를 해결할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뿔난 중국 정부를 풀 수 있는 외교적 대안도 없다. 면세점 업계가 ‘바람 앞의 촛불’ 신세로 전락했다.

면세점 업계가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ㆍTHAAD)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3일 면세점 업계는 그야말로 ‘집단멘붕’에 빠졌다. 중국 정부가 15일부터 한국 관광 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하라는 구두 지시를 내렸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에는 ▲단체ㆍ개인 한국 관광 상품 판매 금지 ▲롯데 관련 상품 판매 금지 ▲온라인 판매 한국 관광 상품 판매 종료 표시 ▲크루즈 한국 경유 금지 등의 내용을 담았다. 중국이 본격적인 사드 보복 조치에 나섰다는 얘기다.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는 국내 면세점 매출의 70~80%를 차지한다. 지난해 국내 면세점 매출 12조2757억원 중 유커 대상 매출은 8조5930억원에 달했다. 사드 보복이 구체화하면 면세점 사업모델이 망가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면세점 업계 관계자는 “아직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지는 않지만 단체 관광이 취소되고 있고 반한反韓 감정도 높아지고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상등이 켜졌지만 별다른 대책 없다”며 “한국 관광상품 금지령이 어느 정도의 손실로 돌아올지 예측이 안 된다”고 토로했다.

더 큰 문제는 중국의 보복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2010년 중국은 ‘센카쿠 분쟁’ 당시 무역제재를 장기화했다. 그 결과, 일본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40% 이상 급감했고, 이를 회복하는데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다. 중국 정부가 사드 배치를 자국의 안보를 침해 하는 행위라고 생각하는 만큼 장기적인 보복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면세점 업계는 중동ㆍ동남아시아를 비롯한 면세점 시장 다각화, 중국 개별 관광객인 산커散客 유치 등을 사드 보복을 극복할 대안으로 꼽고 있다. 한화갤러리아 면세점은 중동과 동남아 여행사와 송객 계약을 체결하는 등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그럼에도 유커 매출 감소의 영향을 상쇄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면세점 업계 관계자는 “현재 대안이라곤 싼커를 유치하는 것인데, 면세점을 찾는 절대 고객수가 적어 한계가 있다”면서 “동남아 관광객의 입국 목적은 쇼핑이 아닌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결국 차기 정권이 어떤 스탠스를 취할 것이냐가 관건”이라고 꼬집었다.

지기호 케이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센카쿠 분쟁, 동일본 지진 등의 이슈가 있었지만 일본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 수는 조금씩 회복하고 있다”면서 “시간이 흘러 보복 조치가 잠잠해지기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