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정책 방향성 바뀌나

▲ 주요국 통화정책 방향에 관한 시장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사진=뉴시스]

세계 주요국의 통화정책에 국제금융시장의 눈이 쏠리고 있다. 통화긴축을 예고한 미국과 달리 유럽, 신흥국의 통화정책 방향성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로선 통화정책의 방향이 ‘긴축’으로 옮겨지되 그 강도는 약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경기회복 시그널이 아직 약한 우리나라다.

국제금융시장의 관심이 세계 주요국의 통화정책 방향성에 쏠리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열리는 ‘잭슨홀 미팅(경제정책 심포지엄)’이 그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결과에 따라 주요국의 통화정책방향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입에도 이목이 쏠려 있다. 유로존 경기가 회복세를 띠면서 통화정책을 변경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유로존의 실업률은 6월 6일 9.1%로 내려앉았다. 2009년 2월 9.3% 이후 최저치다.

현재로선 통화정책의 방향성이 ‘긴축’으로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잭슨홀 미팅에서도 ‘긴축 시그널’이 공표될 공산이 크다. 드라기 총재 역시 ‘긴축’ 쪽에 무게를 둘 전망이다. 하지만 그 강도는 세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물가상승이 안정적이지 않다.

경기가 회복됐다는 확실한 시그널도 아직 없다. 어쨌거나 한국은 예민해질 수밖에 없다. 강도가 세든 약하든 긴축정책은 한국경제에 긴장감을 불어넣을 것이다. 긴축정책이 금리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 때문이다. 1300조원을 넘는 가계부채의 ‘뇌관’에 불이 붙을 수 있다는 얘기다.

 

증시 전문가들은 기준금리 가능성을 낮게 본다. 김동원 SK증권 애널리스트는 “통화정책은 주택시장의 상황만을 반영해서 움직이는 건 쉽지 않다”며 “국내 경기의 확장세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통화긴축기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많다. 박형중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의 인상 조건과 시점을 미리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며 “선제적 금리 인상은 한국경제에 위험한 선택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