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의 Clean Car Talk

▲ 우버의 자율주행차가 사고로 전복됐다.[사진=뉴시스]
자율주행차의 목적은 ‘운전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보행자’의 안전이 위협 받을 수 있다는 얘기도 된다. 인공지능(AI)에 도덕ㆍ윤리적인 판단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건 정설 아니던가. 자율주행차, 미래 먹거리인 건 맞지만 따져봐야 할 게 한두개가 아니다.

자율주행차는 자동차 산업의 떠오르는 미래 먹거리다. 운전자의 조작 없이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이동하는 자율주행차는 오래전부터 꿈꿔왔던 광경이다. 그런데 꿈에 불과할 것만 같던 이런 상상이 점차 현실이 되고 있다. 자동차 전자장비의 기술개발 속도가 빨라지면서 최근 출시되는 고급 승용차에 자율주행기능이 본격적으로 탑재되고 있어서다.

물론 완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한 건 아니다. 운전자가 운행 중에 두손이 필요할 경우 운전대를 잠시 놓아도 된다거나, 잠시 졸았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는 정도가 자율주행 기술의 현주소다. 아직까지 출퇴근시간처럼 복잡한 교통상황에서는 자율주행기능이 제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 역시 시간문제다. 기술개발 속도가 갈수록 가속화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머지않아 완전한 자율주행차를 볼 수 있을 가능성이 낮지 않다. 실제로 수년 내에 도로 상황이 한산한 관광지에선 시속 30~40㎞의 마이크로버스(소ㆍ준중형 버스) 등이 운행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완성차 업체의 엔지니어들은 출퇴근시간 시가지를 달리는 완전 자율주행기술 개발이 가능하다고 내다보고 있다. 완전 자율주행차가 현실로 한걸음 다가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기술만 완성되면 자율주행차가 실제 도로를 달릴 수 있을까. 현재로선 가능성이 높지 않아 보인다. 실제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를 운행할 수 있느냐, 아니냐의 문제는 기술력과는 또 다른 얘기이기 때문이다. 문화, 관습, 제도 등 자율주행을 가로막는 기술 외적인 요인이 숱하게 많다.

무엇보다 가장 큰 걸림돌은 ‘불신’이다. 단순한 구조의 기계도 믿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생명을 담보로 하는 자율주행차는 신뢰가 더 낮아질 공산이 크다. 더구나 한번이라도 사고가 발생하면 이런 불신은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둘째 문제는 제도적 기반을 뒤흔들 수 있다는 점이다. 수백년간 법체계의 중심은 인간이었다. 하지만 자율주행차가 등장하면 사물이 법적 인격체가 될 수 있다.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와 보험처리 문제도 하루빨리 해결해야 할 문제다.

셋째는 윤리적 문제다. 자율주행차는 탑승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다. 반대로 생각하면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서라면 언제든 보행자를 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사람과 달리 인공지능(AI)에 도덕ㆍ윤리적인 판단을 기대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자율주행차는 머지않아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종의 글로벌 기업들이 자동차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자율주행차라는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전쟁이 시작됐다는 얘기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 법ㆍ제도적 취약점을 수정하고 개선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나라도 자율주행차 개화에 대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더 이상 부처 간 이기주의, 중복 투자, 컨트롤 타워 부재 등으로 절호의 타이밍을 놓쳐선 안 된다. 현재 자율주행차 관련 부서별로 자문단과 팀을 별도로 조직해 운행하고 있는데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지적사항을 하루속히 개선해야 한다.

아울러 자율주행차 자체도 중요하지만 주변 제도와 법적 시스템, 대국민 공감대 등 다양한 문제를 정리할 수 있는 융합적 사고를 지니고 대처해야 할 것이다. 기회는 항상 기다려주지 않는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autoculture@hanmail.net | 더스쿠프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