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업계 호재에도 냉랭한 이유

태양광이 또다시 구름에 가렸다. 중국은 연내에 한국산 폴리실리콘에 반덤핑 관세율을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세이프가드 발동 가능성도 나쁜 변수다. 중국발 공급과잉이 구조조정으로 해결되고, 폴리실리콘(태양광 전지 원료)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와중에 터진 악재다.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건 세계적인 추세다. 하지만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은 유독 빛을 보지 못했다. 태양광의 가치를 외면했기 때문이 아니다. 중국발 공급과잉이 태양광의 가치를 되레 떨어뜨렸다. 유가하락도 나쁜 영향을 미쳤다. 원유가격이 내려갈수록 태양광 발전 단가는 계속 올라갔기 때문이다.

이런 태양광 업계에 최근 빛이 들고 있다는 긍정적인 분석이 나온다. 껑충 뛰어 오른 ‘폴리실리콘(태양광 전지 원료)’ 덕분이다. 하지만 업계 분위기는 냉랭하다.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의 배경이 영 찜찜해서다. 올해 초 ㎏당 16달러 선이었던 폴리실리콘 가격은 4월 13달러 선으로 내려앉았다가 중국 생산업체들이 자연스럽게 정리되면서 서서히 올랐다.

그러다 8~9월 사이에 16달러 선을 회복했다. 업계에서는 미국의 세이프가드(긴급 수입제한 조치)에 따른 불안감이 조성되면서 물량 공급을 우려한 미국 수입업체들이 재고 확보에 나서면서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태양광 모듈 수입(한국산 포함) 탓에 미국 산업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판단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지난 9월 2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세이프가드(긴급 수입제한 조치)를 제안했다. ITC가 11월 13일까지 세이프가드 권고 보고서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하면 미 정부는 2018년 1월에 최종 조치를 결정할 전망이다. 곧 닥칠 위기에 대비한 폴리실리콘매수 덕에 가격이 올랐다는 얘기다.

우려는 이뿐만이 아니다. 중국 정부는 연내에 한국산 폴리실리콘을 대상으로 반덤핑 관세율을 올릴 가능성이 높다. 중국이 폴리실리콘 전체 수입량의 약 60%를 OCI에 의존하고 있어 소폭 인상에 그칠 거라는 분석도 있지만 뚜껑은 열어봐야 안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ㆍTHAAD) 배치 보복이라는 이슈가 겹쳐 있어서다. ‘빛이 들고 있다’는 장밋빛 전망에도 태양광 업계가 냉랭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