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의 양극화

▲ 한국의 고령인구가 바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고령사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사진=아이클릭아트]

마침내 올 것이 왔다. 지난 8월 한국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한국의 고령인구(만 65세 이상)가 고령사회 기준(총인구의 14%)인 700만여명을 넘어서면서다. 2000년 고령화사회(고령인구 7%)가 된 지 17년 만의 일이다. 미국이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바뀌는 데 71년 걸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다.

당연히 노후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여론조사기관 트렌드모니터에 따르면 ‘평소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묻는 질문에 ‘매우 느낀다’ ‘간간이 느낀다’는 답변은 각각 29.4%, 50.9%에 달했다. 노후에 가장 필요한 것으론 ‘돈(74%ㆍ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나이가 들수록 줄어드는 수입에 비해 나가는 돈은 점점 늘고 있기 때문이다.

병원비도 무시하기 어렵다. 병이 쉽게 낫지 않아 치료기간이 길고 비용도 많이 든다. 고령 인구의 평균 치료 기간이 17~20년, 연간 진료비는 약 360만원에 달한다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발표가 이를 잘 보여준다. 하지만 이런 부담을 덜어줄 한국의 복지 성적은 초라하다. NGO단체 헬프에이지가 발표한 세계 노인복지 지표에서 한국은 세계 96개 국가 중 종합순위 60위에 머물렀다. ‘소득보장’은 82위에 그쳤다.

이 때문인지 기대수명을 둘러싸고도 ‘양극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 상위 20%(기대수명 85.14세)와 하위 20%(78.55세)의 기대수명 차이는 6.59세로 큰 차이를 보였다. 2025년에는 6.9세로 벌어질 전망이어서 그 격차는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다. 원했든 원하지 않았든 돈이 수명을 지배하는 시대가 왔다. 

임종찬 더스쿠프 기자 bellkick@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