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영세사업자 현주소

알뜰폰 사업자의 곡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의 지원을 믿고 사업에 뛰어든 업체만 줄지어 40여개. 이통3사부터 대기업 계열사까지 뛰어들어 시장은 레드오션이 됐다. 하지만 정부의 통신정책이 알뜰폰의 가격 경쟁력마저 앗아갈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규모가 큰 업체들은 그나마 사정이 낫다. 영세한 알뜰폰 사업자들은 적자 누적에 허덕이고 있다. 더스쿠프(The SCOOP)가 영세 알뜰폰 업체의 현주소를 살펴봤다.
▲ 정부의 정책에서 소외되고 출혈경쟁에서 밀리는 알뜰폰 영세사업자들의 상황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사진=아이클릭아트]
“당장 내년 사업계획서를 짜는 것부터 골치가 아프다. 원가를 결정하는 도매  대가 인하 협상이 매년 난항을 겪고 있는 데다 전파사용료 면제도 언제까지 이어질지 알 수 없어서다. 대기업 알뜰폰 사업자와의 출혈 경쟁도 힘든데,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으로 이제 대형 이통사와의 가격 게임도 쉽지 않다. 정부가 중소기업에도 기회를 준다는 말을 믿고 뛰어든 사업인데 지금은 미래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 알뜰폰 기업 대표의 하소연이다. 이 회사는 자본금 50억원의 중소 사업자다. 매출 규모는 20억원 수준에 영업이익은 간신히 흑자를 내고 있다.
알뜰폰 사업자의 당장 눈앞에 닥친 위험은 전파사용료다. 전파사용료는 공공재인 전파를 쓰는 대가로 정부에 납부하는 금액으로, 이통3사는 가입자당 461원(월)을 내고 있다. 알뜰폰 사업자도 동일한 금액을 납부해야 하지만 정부가 2013년부터 전파사용료를 한시적으로 감면해주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현재(2017년 9월)까지 감면된 전파사용료는 800억원가량이다. 정부가 전파사용료를 면제해주는 건 알뜰폰 사업이 여전히 적자 상태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알뜰폰 사업자 전체 매출액은 8380억원, 영업이익은 317억원 적자를 내는 등 손익분기점을 넘지 못하고 있다. 
알뜰폰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 9월 면제기간을 1년 더 연장해주기는 했지만 내년엔 상황이 어떻게 달라질지 모른다”면서 “장기적으로 면제기간을 정해주면 좀더 안정적으로 사업 계획을 세울 수 있을 텐데, 하루 앞이 깜깜하다”고 토로했다. 
이통3사의 알뜰폰 사업자나 대기업 계열 사업자는 그나마 사정이 낫다. 유통망 확보가 유리하고 출혈경쟁을 버틸 수 있는 자본력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적자에 허덕이면서도 파격적인 요금 할인제와 프로모션으로 고객 잡기에 나서고 있다. 1위 사입자인 CJ헬로비전이 내놓은 ‘The 착한 USIM 10GB’ ‘착한페이백 데이터 USIM 1GB’ 등이 그 예다.
 
하지만 적자 누적을 겪고 있는 영세업체들은 출혈경쟁을 버틸 여력이 없다. 가격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시장에서 도태되는 악순환을 겪고 있는 거다. 실제로 41개 알뜰폰 사업자 중 상위 10개 업체가 가입자의 77%(700만명 중 540만명ㆍ2017년 3월)를 보유하고 있다. 
정부는 유통채널을 확보하기 어려운 중소 알뜰폰 사업자를 위해 2015년 온라인 판매 사이트 알뜰폰 허브를 열었다. 현재 17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지만 실적이 저조하다는 지적이 많다. 지난 10월 판매량이 1390여대에 그쳤기 때문이다. 여기에 가입자수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는 점도 이들의 앞날을 어둡게 하고 있다. 정부는 “알뜰폰 사업자가 실질적인 경쟁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지만 실효성 없는 정책에 알뜰폰 사업자들의 낯빛은 어두워만지고 있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