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꽁 얼어붙은 기부문화

▲ 최근 일어난 기부금 횡령사건으로 한국 기부단체를 불신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사진=뉴시스]

매년 연말이면 열띤 기부 행렬이 이어졌던 대한민국.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훈훈한 기부 문화를 찾기 어려워졌다. 적극적으로 기부를 실천하던 사람들도 눈에 띄게 줄었다. 2012년 88만6617명이었던 기부금 신고자는 2016년 71만5260명으로 약 17만명 감소했다. 기부캠페인 ‘사랑의 온도계’를 찾는 발걸음도 예전 같지 않다. 2018년 사랑의 온도계의 목표금액 달성률은 78.2%(1월 2일 기준)로 전년 동기(82%) 대비 3.8%포인트 줄었다.

사람들이 기부를 망설이는 이유는 별다른 게 아니다. 국내 기부문화에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설문조사업체 트렌드모니터의 조사에 따르면 기부를 꺼리는 이유로 ‘기부금 관련 비리가 많아서’ ‘기부단체가 투명하지 않아서’가 각각 62.2%(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실제로 ‘새희망씨앗 사건(128억만원)’ ‘어금니 아빠 사건(12억원)’ 등 대규모 기부금 횡령사건이 2017년에만 두차례 일어났다.

기부단체의 불투명한 운영구조도 문제다. 특히 공익법인 중 하나인 사회복지법인은 기부금 의존도가 높아 투명한 회계관리가 필수다. 하지만 국세청(2016년)에 따르면 100억원 이상 자산을 보유한 사회복지법인 중 회계감사를 받은 법인 비율은 59%에 그쳤다. 41%는 감사를 받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이행했다.

기부단체가 탈세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기부금으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서다. 2017년 12월 한국 가이드스타는 거짓으로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한 기부단체가 51곳이라고 발표했다. 

임종찬 더스쿠프 기자 bellkick@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