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이벤트의 저주

▲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이 ‘혈세 먹는 하마’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사진=뉴시스]

흑자올림픽으로 막을 내렸다. 평화올림픽이라는 족적을 남겼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은 우려를 씻어내고 희망을 담는 데 성공했다. 규모는 규모(역대 최다 참가국 92개국ㆍ역대 최대 인원 2920명), 흥행이면 흥행(입장료 수익 1573억원), 경제효과면 효과(총생산 유발효과 약 20조원) 등 모자람이 없었다. 문제는 평창 그 이후다.

동계올림픽 개최국은 예외 없이 ‘빅 이벤트의 저주’에 시달렸다. 미국 솔트레이크시티(2002년), 이탈리아 토리노(2006년), 캐나다 밴쿠버(2010년)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는 대회 개최 2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막대한 돈을 들여 새로 지은 경기장 역시 골칫거리로 남았다. 평창도 같은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평창동계올림픽을 개최하기 위해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 정선 알파인 경기장 등 6곳을 새로 지었다. 무려 7500억원을 투입했다. 6곳의 연간 운영비는 258억9300만원에 이른다. 신설 경기장들의 활용책이 시원치 않으면 ‘흑자올림픽’이라는 찬사는 1년 만에 무너질 수 있다.

축제는 끝났고, 과제는 남았다. 무시무시한 ‘빅 이벤트의 저주’를 푸는 건 첫번째 과제다.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범사회가 신경을 바짝 곤두세워야 한다. 축제의 취기를 벗어나지 못하는 순간, 비극이 닥친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