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참 뒤처진 한국 드론산업

2026년 세계 5위 드론 강국. 정부가 제시한 한국 드론산업의 청사진이다. 여러 가지 육성책도 쏟아진다. 하지만 현실과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글로벌 시장과 벌어진 격차가 워낙 커서 따라잡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론도 나온다. 뱁새가 황새 쫓아가는 꼴이라는 얘기다. 더스쿠프(The SCOOP)가 한국 드론산업의 현주소를 취재했다.

▲ 한국 드론산업의 경쟁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사진=뉴시스]

드론이 3월 30일부터 공공측량에 활용되기 시작했다. 기존 도로ㆍ철도ㆍ택지개발 등 공공공사 측량은 항공 및 지상측량 방식에만 의존했다. 측량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공간정보산업협회에서 성과 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아쉽게도 드론 측량엔 이 기준이 없었다. 국토교통부가 제도 개선을 통해 새 기준을 만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국토부는 연간 1650억원 규모에 달하는 국내 공공측량 시장 중 17%(283억원) 정도를 드론이 대체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정부의 ‘드론산업 육성정책’의 일환이다. 각종 규제를 완화해 조기 상용화의 길을 열겠다는 거다. 이를 통해 국내 드론시장 규모를 4조4000억원으로 키우고, 드론 기술의 경쟁력을 세계 5위권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업계 반응은 차갑다.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ㆍ가격ㆍ생산량 등이 밀렸는데 규제를 완화한다고 산업이 살아나겠냐는 거다. 실제로 수많은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드론 상용화에 나섰다. 아마존은 2013년에 배송 시스템에 드론을 도입한 데 이어 무인 택배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중국에선 드론 제조사 DJI가 여가용 드론을 판매하면서 글로벌 시장을 장악했다.

 

반면 한국시장 규모는 1000억원대로, 세계 30위권 수준이다. DJI의 연간 매출 1조원, 세계시장 규모 71억 달러(약 8조447억원)와는 비교할 수 없다. 드론을 띄울 수 있는 곳도 많지 않다. 드론 시범사업지역은 7곳, 드론 전용비행구역은 10곳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인데도 정부는 민간시장보단 공공수요를 기반으로 한 드론 운용시장을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국 드론, 갈 길이 멀고 험하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