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가 하이그라운드 프로덕션 세운 이유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넷플릭스와 콘텐트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사진=뉴시스]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넷플릭스와 콘텐트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사진=뉴시스]

[정치 프로그램? NO~]
넷플릭스 손잡은 오바마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이 글로벌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 넷플릭스와 손잡고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1일(현지시간) “오바마 전 대통령과 미셸 오바마 여사가 넷플릭스와 시리즈물•다큐멘터리 등 콘텐트를 다년간 제작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계약 전 콘텐트 제작사인 하이그라운드 프로덕션을 설립했으며, 일부 프로그램에는 직접 출연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이그라운드 프로덕션은 정치색이 강한 프로그램보단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TV쇼를 주로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오바마 전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시때때로 비난을 쏟아내고 있음에도 적극적인 대응을 자제하고 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우리는 재능 있고 영감을 주고 창의적인 사람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길 바란다”면서 “그들이 전세계와 대화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고 말했다. 넷플릭스는 전세계 1억25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닷컴열풍 때 거품보다 크다]
실리콘밸리 버블 경고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에 낀 거품이 2000년대 닷컴버블 때보다 크다는 경고가 제기됐다. 미 CNBC는 지난 22일(현지시간) 지난해 상장한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기업 중 76%가 이익을 내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신규 상장 기업의 81%가 이익을 거두지 못했던 2000년 닷컴버블 이후 최대 규모다.

전미경제연구소(NBER)도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신생 벤처기업을 뜻하는 ‘유니콘 스타트업’의 절반 정도가 과대평가를 받았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NBER은 브리티시콜롬비아대와 스탠퍼드대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 결과를 통해 135개의 스타트업 기업 중 절반에 해당하는 65개 기업이 10억 달러 미만으로 평가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IPO(기업공개)를 실시하는 스타트업 기업의 수도 크게 줄고 있다. 2014년 미국에서는 275개의 스타트업 기업이 IPO를 실시했다. 하지만 2015년 170개로 감소한 이후 2016년에는 절반을 밑도는 105개로 줄었다. 문제는 과장된 평가로 인해 IT 스타트업에 투자한 투자자가 손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이다. CNBC는 “소수의 성공 사례만 보고 착시 현상에 빠져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美 정부 부채는 재앙의 원흉]
골드만삭스의 경고


미국 대형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미국 정부의 재정적자가 재앙을 부르는 수준으로 불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의 월가 금융매체 제로헤지에 따르면 지난 21일(현지시간) 골드만삭스는 현재 8250억 달러(약 895조4550억원) 수준인 미국 정부의 연간 재정적자가 2021년엔 1조2500억 달러, 2028년엔 2조500억 달러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에서 4.1%가량을 차지하는 미 정부의 재정적자 규모가 2021년과 2028년 각각 5.5%, 7%로 높아질 거란 전망이다.

골드만삭스는 미 정부 부채의 증가 원인이 잘못된 조세·재정 정책에 있다고 분석했다.[사진=뉴시스]
골드만삭스는 미 정부 부채의 증가 원인이 잘못된 조세·재정 정책에 있다고 분석했다.[사진=뉴시스]

골드만삭스는 미 정부의 재정적자가 급증하는 원인을 “기존의 불균형한 정책에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및 재정확대 정책이 더해진 탓”이라고 분석했다. 미 의회가 최근 제정된 조세정책과 기존 재정 정책을 지속적으로 연장한다면 1940년대나 1990년대 경험했던 최악의 재정 상태 수준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공공부채의 증가를 막지 않은 채 그대로 둔다면 궁극적인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트럼프식 통상압박, 부메랑 부른다]
‘아메리카 퍼스트’ 향한 경고


‘아메리카 퍼스트’를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통상압박 정책이 오히려 미국경제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미국 국채시장으로 유입되는 외국자본의 규모가 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불붙인 무역 갈등으로 인해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늘어난 탓이다.

베스 앤 보비노 S&P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대적인 감세 정책으로 미국의 부채가 늘고 있다”면서 “세수는 줄고 씀씀이는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 부채를 갚기 위해서는 국채 발행 규모를 늘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이 국채를 사들이는 게 대부분 외국 투자자들이라는 점이다. 보비노 이코노미스트는 “해외투자 자본의 급등은 장ㆍ단기 금리역전 현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는 경기침체의 전조로 해석되기 때문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가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40년 만에 인구정책에 ‘메스’]
中 출산 제한 폐기할까


중국 정부가 올해 안에 출산제한 조치를 연내 전면 폐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인구의 급속한 노령화를 낮추고, 인권 침해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블룸버그통신은 21일 “중국 국무원이 출산 제한 조치를 폐기했을 경우 그것이 국가 경제와 사회에 미칠 영향을 연구했다”면서 “그 결과 제한 조치를 전면 폐기하는 변화를 단행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출산 제한 조치를 폐기하면 중국의 인구정책은 40년 만에 획기적으로 바뀌게 된다.

중국이 출산 제한 조치를 전면 폐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사진=뉴시스]
중국이 출산 제한 조치를 전면 폐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사진=뉴시스]

중국 공산당은 1978년 제11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에서 한자녀 정책을 국책으로 채택했다. 인구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다. 이후엔 정책을 단계적으로 완화했다. 2013년에는 부부 중 한쪽이라도 독자일 경우 2명의 자녀를 낳을 수 있게 했고, 2015년에는 한자녀 정책을 공식 폐기하고 1가구 2자녀 정책을 도입했다. 하지만 2자녀 정책 시행 후에도 중국의 출산율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관광객 안 반기는 관광지] 
관광지에선 무슨 일이…


뉴질랜드가 관광 규제에 나섰다.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나치게 많은 관광객들 때문에 뉴질랜드의 환경이 파괴되고, 주민들의 거주권이 침해당하고 있다”면서 “뉴질랜드는 새로운 관광세 도입 등 다양한 조치들을 모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지난해 오클랜드 인근 와이헤케 섬 주민들은 관광버스 진입을 막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문제는 관광 규제가 뉴질랜드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관광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매년 작은 마을이나 도시로 수백만명의 관광객이 유입되는 바람에 세계 곳곳에서 저항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이탈리아 베네치아,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 일본 교토 등의 주민들은 “홍수처럼 밀려오는 관광객들 탓에 못 살겠다”면서 불만을 토로했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