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특약(19) 기후변화와 블록체인

기후변화는 난제다. 화석연료를 쓸수록 온실가스가 발생해 지구온난화가 가속화하는데, 화석연료를 포기할 수는 없어서다. 이보다 경제성도 뛰어나고 전력 효율도 좋은 에너지원은 없다. 대체 카드로 재생에너지가 거론되고 있지만 비중이 높지 않다. 시간별ㆍ계절별 변동성이 커서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이 난제를 해결하는 실험이 독일에서 진행 중이다. 핵심 기술은 블록체인이다. 더스쿠프(The SCOOP)와 한국IBM이 기후변화와 블록체인의 상관관계를 풀어봤다. 

독일의 전력공급 기업 테넷은 블록체인을 활용해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독일의 전력공급 기업 테넷은 블록체인을 활용해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석유ㆍ석탄 등 화석연료는 그간 우리 인류를 지탱해온 에너지다. 현재도 전세계 에너지 비중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화석연료에 계속 의존할 수는 없다. 부작용이 너무 많아서다. 화석연료를 연소시킬 때 배출된 온실기체인 이산화탄소는 지구의 기후를 걷잡을 수 없이 바꿔놨다.

결국 2015년 12월 190여개 국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결단을 내렸다.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기존 목표였던 2도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온실가스 배출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자는 취지에서였다. 특히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내로 제한하는 걸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다. 이게 바로 파리기후협약이다.

분명히 쉽지 않은 과제다. 화석연료만큼 경제성이 뛰어나고 효율이 좋은 에너지를 찾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아예 방법이 없는 건 아니다. 유력한 대안으로 꼽히는 건 재생에너지다. 이는 태양열이나 풍력 등을 이용해 유해물질이 덜 배출되는 형태로 전력을 만드는 에너지다. 우리나라도 재생에너지 보급에 힘쓰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전체 전력 생산 비중의 4.8%에 불과한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2030년까지 20%로 끌어올린다는 ‘재생에너지 2030 플랜’을 꺼냈다.

현재 재생에너지 보급 측면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는 국가는 독일이다. 독일은 2014년 세계 최초로 재생에너지 비율을 25%까지 끌어올렸다. 지난해엔 총 전력 생산량의 36%가 재생에너지의 몫이었다. 이는 정부뿐만 아니라 수많은 독일 에너지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보급에 힘쓴 결과다.

이런 기업들 중에는 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리기 위해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중 하나인 블록체인을 도입한 기업도 있다. 테넷이다. 이 회사는 독일과 네덜란드에 활동하는 대형 전력공급 업체다. 2만2500㎞의 고압전력망을 갖추고 있고, 총 4100만여명의 유럽 인구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그럼 테넷은 어떻게 블록체인을 재생에너지 사업에 연결한 걸까. 이 질문의 답은 테넷의 사업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먼저 대형 전력공급 업체의 난제부터 살펴보자. 전력공급 업체의 전통적인 딜레마는 ‘수요와 공급’이다. 지역별로 공급과 수요가 맞지 않을 경우, 기업은 즉각 추가 전력을 공급하거나 예비 전력을 배치해야 한다. 이런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선 소비자들이 어떤 방식으로 전력을 이용하는지 분석해야 한다. 테넷의 고민은 바로 여기에 있었다. 일반 에너지도 이런 데, 변수가 더 많은 재생에너지의 이용현황을 찾아내는 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다. 

테넷은 이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한 두개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첫번째는 독일 내 보급률이 높은 전기차에서 힌트를 얻었다. 특정 지역의 전기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 각 전기차 배터리에서 남은 전력을 끌어와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IBM과 협업해 전기차 배터리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 네트워크가 중앙 전력공급기관을 거치지 않고 ‘남는 전기차 배터리-전기가 필요한 가구’를 직접 연결한다. 전기차 배터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규모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다.

두번째 프로젝트에선 신생 배터리 기업인 존넨과 손을 잡았다. 테넷과 존넨은 먼저 각 가정용 태양열 배터리를 연결했다. IBM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서다. 배터리에 잉여 전력이 확인되면, 공급이 부족한 가정에 이를 보내는 방식이다. 블록체인에 등록된 배터리들은 실시간으로 잔여 전력량과 부족 전력량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과정 중에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었다.

개인간 전력 거래 가능해지면…

테넷의 두개의 실험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그동안 거의 모든 국가에선 정부와 대형기업이 전력공급을 독점해왔다. 전력을 생산하는 것도 어려운 데다 이를 효과적으로 저장ㆍ공급하는 것도 개인의 역량으론 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통해 개인간 전력 거래가 활발해지면 더 많은 재생에너지가 생산되고 활용될 공산이 크다. 다수의 전력 생산자와 수요자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찾을 수 있어서다. 인류의 난제 기후변화를 해결할 열쇠 중 하나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얘기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도움말 | 마지혜 한국IBM 소셜 담당자 blog.naver.com/ibm_korea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