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관리 없이 공공 와이파이 수 늘리나
서비스 중첩지역 파악이 선결 과제
공공 와이파이 운영비도 적지 않아

공공 와이파이가 늘면 국민들의 통신비 부담이 줄어든다. 저렴한 요금제로도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즐길 수 있어서다. 정부가 전국적으로 와이파이 범위를 넓히는 이유다. 하지만 ‘양量’에만 집착했다간 유지비 폭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안타깝게도 정부는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더스쿠프(The SCOOP)가 공공 와이파이 정책의 리스크를 살펴봤다. 

공공 와이파이 확대 정책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사진=뉴시스]
공공 와이파이 확대 정책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사진=뉴시스]

정부가 공공 와이파이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국민들의 통신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다. 9월 서비스를 목표로 전국 시내버스 4200대에 와이파이를 설치 중이다. 지자체도 유동인구가 많은 곳 중심으로 와이파이를 늘리고 있다. 남양주시는 지난 10일 공원·전통시장 등 32곳에 와이파이 접속포인트(AP)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에선 우려의 시선을 보낸다. 정부가 체계적인 관리 없이 와이파이 수를 늘리는 데만 집착하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해 8월 실무 작업반을 구성했지만 컨트롤 타워로 보긴 어렵다. 와이파이 설치가 작업반의 주요 업무여서다. 업계 관계자는 “공공지역에 이통3사·정부 등 다양한 종류의 와이파이가 혼재돼 있다”면서 “서비스 중첩·음영지역을 파악하거나 품질을 관리하는 등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운영비가 적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 따르면 AP 1대당 유지비는 연평균 100만원에 이른다. 유지비를 줄이는 이상적인 방법은 이통3사를 통해 와이파이를 늘리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이통3사를 설득해 와이파이 40만개 중 25만개를 무료화한 바 있다. 15초 분량의 광고만 보면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통3사는 더 늘리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광고 수익성이 나빠 유지비 확보가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곧 도입될 5G 수요에 타격이 있기 때문이란 분석도 나온다. 신민수 한양대(경영학) 교수는 “5G가 도입되면 공공 와이파이를 5G로 업그레이드할 것이냐는 문제가 나올 수 있다”면서 “이통3사가 민감하게 여기는 사안이라 의견 조율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임종찬 더스쿠프 기자 bellkick@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