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기업수 감소세 뚜렷
정책 의존성 갈수록 심화

2013년 출범한 코넥스는 기대와 달리 투자자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정부는 코넥스가 활력을 잃을 때마다 활성화 대책을 내놨지만 그때뿐이었다. 코넥스가 ‘온실 속 화초’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이유다. 더스쿠프(The SCOOP)가 코넥스의 명암을 살펴봤다. 

코넥스시장은 양적인 성장은 이뤘지만 질적인 성장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코넥스시장은 양적인 성장은 이뤘지만 질적인 성장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스타트업과 기술형·성장형 혁신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제3의 주식시장 ‘코넥스(Korea New Exchange)’가 출범한 지 5년이 지났다. 코넥스는 2013년 7월 1일 출범 당시 ‘창조경제의 첨병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성장성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긴 했지만 지금 외형적 성장엔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상장사는 2013년 21개 기업에서 올 7월 11일 기준 151개 기업으로 7.2배가량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시가총액(4689억원→6조8090억원)도 14.5배나 늘어났다. 시장의 우려를 샀던 거래량과 거래대금도 증가했다. 2013년과 2014년 일평균 거래대금은 3억9000만원에 불과했지만 올해에는 62억2000만원에 달했다. 6만706주에 불과했던 일평균 거래량도 62만2000주로 큰폭의 성장세를 이뤘다.


특히 올해 이룬 성장세는 눈부시다. 시가총액(6조8378억원·1월 18일), 거래대금(218억1000만원·1월 16일), 거래형성종목(132종목·1월 18일) 등 주요 기록의 최고치를 모두 올 1월에 달성했다. 이는 정부의 시장 활성화 정책 덕분이다. 정부는 1월 11일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통한 자본시장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비상장→코넥스→코스닥으로 이어지는 성장사다리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코넥스에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문제는 정부 정책의 ‘약발’이 얼마나 지속되느냐다. 사실 코넥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은 이전 정부도 추진했다. 출범 초기 ‘예탁금 3억원’ 규제가 개인투자자의 진입을 막는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2015년 6월 1억원으로 완화했다.

7월에는 개인투자자의 시장 참여를 유인하기 위해 소액투자전용계좌(연 3000만원 한도)도 도입했다. 하지만 정책 효과는 오래가지 않았다. 2015년 1월 158억원에 불과했던 거래대금 규모는 정책이 시행된 7월 767억원으로 5배가까지 증가했지만 한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실속 없이 덩치만 커졌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정부 활성화 정책이 발표된 1월 2502억원을 기록했던 월 거래대금은 6월 677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같은 기간 거래량도 1174만주에서 절반 수준인 596만주로 줄었고, 시가총액 회전율(거래대금÷시가총액)은 3.97%에서 3분의 1 수준인 1.03%로 떨어졌다. 2016년 50개로 정점을 찍었던 상장기업 수도 지난해 29개, 올 상반기 6개로 감소했다.

코넥스협회 관계자는 “개인투자 활성화에 정책에 집착하다 보니 개인의 비중이 기관을 뛰어넘었다”며 “기관 중심의 전문투자자 시장으로 출범했던 코넥스의 취지가 사라져 버렸다”고 꼬집었다. 이어 “코넥스 시장의 질적인 성장도 중요하다”며 “좋은 기업이 코넥스에 남아 성장할 수 있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