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양각화, 실적 부진 등 이슈 여전
장외시장인 마늠 안정성 보장 어려워
섣불리 투자하기엔 리스크 만만치 않아

프리보드로 불렸던 K-OTC 시장에 활력이 감돌고 있다. 정부가 각종 규제를 풀면서 활성화를 꾀한 게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거래 양극화, 기업 실적부진, 시장퇴출 이슈 등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더스쿠프(The SCOOP)가 K-OTC의 명암을 취재했다. 

정부의 기업 성장사다리 활성화 정책으로 K-OTC시장이 투자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사진=뉴시스]
정부의 기업 성장사다리 활성화 정책으로 K-OTC시장이 투자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사진=뉴시스]

K-OTC는 한국장외주식(Korea over-the-counter)의 약자다. 코스피·코스닥·코넥스 등 주식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의 주식을 거래하는 장외시장이다. K-OTC 시장의 역사는 의외로 길다. 전신은 2000년 출범한 제3시장이다. 2005년 7월 ‘프리보드’로 명칭을 바꿨고 2014년 8월 K-OTC로 다시 확대 개편했다.

여러번 이름을 바꾼 건 투자자의 관심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주식시장(0.3%)보다 높은 증권거래세(0.5%), 소액주주의 양도소득세(대기업 20%·중소기업 10%·벤처기업 면제)등이 발목을 잡았다. 부족한 기업 정보도 투자자의 진입을 가로막았다.


이런 K-OTC가 최근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K-OTC의 인기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정부의 활성화 정책이다. 지난해 0.5%였던 증권거래세를 0.3%로 인하했고 올해는 소액주주가 중소·중견기업의 주식을 거래할 때 내던 양도소득세를 비과세했다. 그 결과, 출범 이후 9억원대를 맴돌던 일 평균 거래대금이 지난해 10억9000만원으로 증가했고 7월 17일 기준 27억5000만원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7월 12일에는 K-OTC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하루 거래대금이 100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하지만 거래 양극화·실적 부진 등의 이슈도 여전하다. 2014년 이후 K-OTC시장에서 등록해지된 기업은 69곳에 달한다. 이중 상장(8곳), 합병(8곳), 자진 등록해제(2곳) 등을 제외한 51개의 기업은 기업 이슈로 시장에서 퇴출당했다. 정기공시서류 미제출 기업이 15곳으로 가장 많았고 자본전액 잠식기업은 13곳에 달했다. 장외시장인 만큼 기업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얘기다.

거래 양극화도 문제다. 일례로 올 7월 16일 현재 거래대금은 67억8900만원, 거래량은 27만8528주를 기록했다. 이 중 한 기업(비보존)이 차지한 거래대금과 거래량 비중은 각각 86.7%(58억8700만원), 46.2 %(12만8753주)에 달했다. 시장 전체가 아닌 특정 기업만 활성화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장 가능성이나 이슈만 보고 투자에 나섰다간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실제로 올 3~4월 거래대금 1위를 차지했던 YD생명과학은 4월 20일 ‘감사의견 거절’로 등록해지됐다. 코스닥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으로 알려져 시장의 충격은 더했다. YD생명과학은 신약 개발 등 사업과는 무관한 이슈로 감사의견 거절을 받은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K-OTC의 검증 시스템이 약한 게 아니냐는 우려는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이정기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최근 K-OTC시장이 주목을 받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섣불리 투자에 나서기엔 위험성이 크다”고 꼬집었다. 그는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극히 적은 만큼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