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경협 산업 기상도

남북경협에 거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가장 큰 수혜가 예상되는 산업은 단연 철강과 건설이다. 공동선언문을 통해 올해 안에 철도와 도로 연결을 위한 착공식을 갖는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철도·도로 연결공사가 시작되면 여기에 필요한 장비를 제공할 기계산업도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다. 북한의 ‘비핵화 의지’가 엿보이지 않는다면 남북경협은 또다시 일장춘몽에 그칠 수 있다. 더스쿠프(The SCOOP)가 남북경협산업의 기상도를 살펴봤다. 

남북경협 활성화 가능성에 국내기업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남북이 발표한 평양공동선언문에 경제협력 활성화 방안이 담기면서다. 주요 기업들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관련 사업을 모색하고 있다. 가장 큰 기대를 모으는 분야는 철도·도로건설이다. 리용남 북한 내각부총리는 방북 경제인과 만난 자리에서 철도협력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평양공동선언문에선 올해 안에 동해안·서해안 철도와 도로 연결을 위한 착공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주요 증권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철강업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전상용 토러스증권 애널리스트는 “남북경협이 추진되려면 끊어진 철도를 이어야 한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발표한 ‘동아시아철도공동체’의 핵심인 시베리아횡단철도(TSR)의 연결을 위해서는 강릉과 제진 사이의 동해선 철도를 놓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건설·기계의 산업 전망도 맑다. 철도를 놓기 위해선 건설업이, 장비를 공급하기 위해선 기계업이 필요해서다. 식품과 의약산업에도 활력이 전해질 가능성이 높다. 남북 관계 개선으로 대북지원 사업이 활발해질 수 있다. 통신업은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통신망을 구축하는 데 최소 5년 이상의 시간과 막대한 자금이 필요해서다.

철강·건설 등 전망이 밝은 산업도 리스크는 있다. 무엇보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가장 큰 걸림돌이다. 국제사회의 의결을 무시하면서 남북경협을 추진하는 건 불가능하다. 결국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남북경협의 성공가능성이 달렸다는 것이다. 아쉽게도 북한은 1992년 이후 핵물질 신고 등 실질적인 비핵화 노력에는 소극적이었다.
강서구 더스쿠프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