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동결 리스크

한미 기준금리차가 점점 커지면서 해외자본의 유출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정부는 크게 신경쓰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해외 투자자들이 ‘금리’라는 변수만으로 움직이는 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문제는 원화가치, 경제성장률 등 변수들도 해외 투자자들의 ‘셀 코리아(Sell Korea)’를 부추기고 있다는 점이다. 더스쿠프(The SCOOP)가 기준금리 동결의 리스크를 살펴봤다. 

3월 한미 기준금리가 11년 만에 역전됐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1.50%(이하 상단 기준)에서 1.75%로 0.25%포인트 올렸기 때문이었다.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1.50%로 끌어올렸던 한국은행은 그 이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연준은 6월과 9월에도 각각 금리인상을 단행해 한미 기준금리 차이는 0.7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그러자 ‘자본 유출론’이 고개를 든다. 외국인 투자자금이 금리가 높은 미국으로 방향을 틀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정부는 이를 우려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전례도 있다. 1999년 6월과 2005년 8월에 한미 금리차가 역전됐지만 각각 1억 달러, 1055억 달러의 외국인자금이 유입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1차 때는 국내 주식시장을 개방했고 2차 때는 차익 거래를 노리는 외국인들이 적극 참여하면서 되레 자본이 유입됐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하다. 정진호 포스코경영연구원 연구원은 “해외 투자자들의 단기자금 비중이 늘고 있는 데다 미국 경기도 점차 회복되고 있다”면서 “한미 간 금리차가 지속되면 자본 유출의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꼬집었다. 원화가치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도 좋은 소식이 아니다. 올해 초 1063원(1월 2일)이었던 환율은 지난 5일 1129원으로 6.2% 올랐다. 원화가치가 떨어지면 해외 투자자들의 국내 투자 수익률이 감소하기 때문에 그들의 눈은 기준금리가 더 높은 미국시장에 쏠릴 수밖에 없다. 국내외 경제기구가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일제히 하향조정한 것도 해외 투자자들에겐 감점 요소다. 한미 금리차, 가만히 두기엔 나쁜 변수가 숱하다.

임종찬 더스쿠프 기자 bellkick@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