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벅이 20대 중소기업 직장인 재무설계

경제활동을 시작한 20대 직장인은 한번쯤 ‘자동차 구입’을 꿈꾼다. 지하철과 버스에서 수많은 사람에게 치이는 서울 직장인들은 더더욱 그렇다. 출퇴근에 하루 4시간을 소비하는 정성민(27ㆍ가명)씨도 자동차 구입을 희망한다. 하지만 한정된 월급으로 내집마련, 노후대비를 해야 하는 정씨는 고민에 빠졌다. 더스쿠프(The SCOOP)와 한국경제교육원㈜이 뚜벅이 20대 중소기업 직장인의 재무설계를 도왔다. 

자동차를 구입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10년 후 자산현황도 달라질 공산이 크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자동차를 구입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10년 후 자산현황도 달라질 공산이 크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통근시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얼마나 될까. 서울연구원 조사 결과, 대중교통에서 보내는 통근시간이 길수록 행복지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출근거리가 단거리(5㎞ 미만)인 직장인의 행복지수는 73.9%인 반면, 장거리(25㎞ 이상) 직장인의 경우 행복지수가 70.1%로 감소했다. 하지만 서울ㆍ수도권에 거주하는 직장인 대다수는 매일 1시간 이상(평균 96.4분ㆍ2016년 서울시민 기준)을 통근하는 데 소비한다.

직장인 정성민(27ㆍ가명)씨도 긴 통근시간 때문에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서울 은평구에 거주하는 정씨는 판교로 매일 출퇴근한다. 통근시간은 하루 평균 4시간에 달한다. 주거비를 절약하기 위해 부모님댁에서 출퇴근하고 있지만, 최근 독립을 고민하고 있다. 정씨는 전세자금 4000만원을 대출받아 5개월 후쯤 이사를 할 계획이다. 그는 “4년 안에 전세자금 대출을 모두 상환하고, 5년 후 자동차 구입, 10년 후 내집 마련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뚜벅이’ 생활에 지친 정씨는 수년 내 자동차 구입을 희망하고 있지만 고민도 적지 않다. 그는 “자동차를 구입하고 나면, 추후에 내집마련 자금을 모으는 데 부담이 될 것 같아 고민이다”고 말했다. 실제로 자동차는 감가상각이 크고, 고정비 부담이 높다. 섣불리 구입했다가 자칫 저축여력을 갉아먹거나 부채의 늪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 자동차를 구입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10년 후 자산현황도 달라질 공산이 크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구입시 보험ㆍ세금 등으로 연간 100만원가량이 든다. 유류비를 월 평균 30만원으로 가정했을 때, 자동차 구입에 따른 부가적인 지출이 연평균 480만원에 이른다. 10년이면 4800만원인 셈이다. 자동차 구입비용 (약 3000만원)까지 합하면 어마어마한 금액이다. 자동차를 사는 대신 7~10%대 이율의 펀드에 투자한다면, 10년 후 9000만~1억원으로 불릴 수 있는 자금인 셈이다. 결혼 후가 걱정이라고 해도 5년 후 5000만원의 종잣돈을 모으는 게 가능하다. 자동차 구입 시 신중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Q1 지출구조

정씨의 급여는 월 250만원이다. 여기에 매년 상여금 250만원을 받고 있다. 부모님댁에 거주하고 있어 주거비나 생활비 부담은 크지 않았다. 소비성지출은 통신비 8만원, 생활비 10만원, 교통비 10만원, 문화ㆍ여가생활비 42만원 등이 나가고 있었다. 여기에 쇼핑ㆍ경조사ㆍ휴가 등에 쓰는 비정기지출이 연간 155만원가량으로 월평균 13만원이었다. 소비성지출은 총 83만원이었다.

20대 남성치고 씀씀이가 알뜰한 편이었고, 저축 비중이 큰편이었다. 매달 적금 70만원, 펀드 30만원, 연금 10만원, 보장성보험 11만원 등 121만원을 투자하고 있었다. 펀드는 해외펀드 2개, 국내펀드 1개에 나눠 투자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수익률이 -5.0~-14.0%대로 하락해 정씨의 불안감도 커졌다. 매달 10만원씩 납입하는 개인연금은 10년 만기, 최저보증금리 2.5% 복리형 상품이었다. 잉여자금 46만원은 통장에 모아두고 있었다.

Q2 문제점

또래보다 알뜰한 정씨지만 문제점도 적지 않았다. 불안한 마음에 무작정 가입한 연금이 문제였다. 은퇴 후 매달 100만원씩 수령하고자 했지만 턱없이 부족했다. 정씨가 가입한 연금(10년 만기ㆍ2.5%복리)은 만기시 1362만원이 모인다. 65세까지 30년을 거치하면 2856만원이 된다. 65세부터 100세까지 연금을 받는다고 가정했을 때 월 수령액은 5만원가량이다. 화폐가치 상승 등을 고려하면, 체감상 월 1만~2만원을 받는 셈이다. 국민연금ㆍ퇴직연금도 수익형 상품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다.

매달 30만원씩 불입하고 있는 펀드상품도 정씨의 성향에 맞지 않았다. 해외펀드의 경우 ‘언젠가 빛을 발한다’는 믿음으로 묵혀둬야 한다. 하지만 수익률에 따라 일희일비하는 정씨는 투자성향이 느긋한 편이 아니었다. 이 경우 3년 이내 펀드상품에 가입하는 게 낫다. 이사를 계획하고 있지만 목돈이 전혀 없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Q3 해결점

먼저 연간 상여금 250만원을 CMA 통장에 모아두고, 비정기지출(13만원) 용도로 활용하기로 했다. 그외 소비성지출은 손볼 게 없었다. 여기에 잉여자금 46만원을 더한 59만원으로 포트폴리오를 다시 짰다. 전세대출 이자는 매달 11만원이었다. 내집마련을 위해 청약저축(2만원)에 가입했다. 적금 규모를 20만원 늘리고, 대출상환 목적(80만원)ㆍ이사비 목적(10만원)으로 나눠 적금에 가입했다.

연금 규모도 20만원 늘리는 한편 실적배당형 연금으로 전환했다. 펀드는 동일한 금액을 투자하되 정씨의 성향에 맞는 상품으로 손봤다. 2~3년 후를 바라보고 국내펀드(15만원), 아시아펀드(15만원)에 투자했다. 잉여자금 6만원은 통장에 모으기로 했다.
천눈이  한국경제교육원㈜ PB 팀장 crimsonnunn@naver.com | 더스쿠프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