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복 참기 힘든 이유

식욕을 참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식욕을 참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의 대표적 욕구라 칭하는 식욕ㆍ수면욕ㆍ성욕을 살펴보자. 숙명처럼 타고 났음에도 성을 행함에 번민이 따르고 잠을 청함에 부족함이 있으며 저작咀嚼(음식을 입에 넣어 씹음)을 통해 음식을 목구멍으로 넘김에 가슴 아픔이 있다. 왜 그럴까. 식욕에 국한해 생각해보자. 어느날 우리가 저녁 늦은 시간에 찾아온 공복을 불같은 의지로 참고 들어왔다.

하지만 현관문을 여니 이게 웬 재앙(?)인가. 길에서 마주친 오토바이 배달원이 우리 집에서 나왔음이 확실하다. 도우의 테두리마다 고구마와 치즈를 잔뜩 쑤셔 넣고 온갖 토핑이 하늘의 별처럼 박힌 피자가 향긋한 냄새를 풍기며 나를 반긴다. 이제 막 피자를 한입 베어 문 식구들은 말을 제대로 못 하니 손으로만 나를 어여 오라고 부른다.

복어처럼 입이 부푼 채 눈만 하염없이 웃는 아내에게 눈길 한번 주지 않고 내 방으로 들어가 조용히 잠드는 것은 인간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다. 인류가 400만 년을 굶었는지, 250만 년을 굶었는지는 이 순간 중요하지 않다. 공복 유전자에 완패함으로 결국 인간다워지기로 결심한 나는 통통한 피자의 테두리부터 한입 베어 문다. 이윽고 아들 녀석이 건네는 얼음 채운 콜라를 한 잔 마시니 이 순간 세상에 부러운 것이 없다.

체중 조절을 다짐한 대다수 사람은 이렇게 음식 앞에서 갈등을 겪기 일쑤다. 그래서 다이어트를 다른 말로 “내일부터” 혹은 “내년부터”라 부르기도 한다. 야식을 끊지 못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수면 전 극심한 공복감을 극복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 몸이 음식을 요구하는 생리적 욕구가 아니라 취침 전 빈배를 채우려는 욕망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야식을 비롯해 불필요한 음식의 유혹을 매번 뿌리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인간 수명 연장의 꿈을 달성할 수 있을까.

단언할 순 없지만, 소화기관을 말끔히 비운 채 잠드는 것이 많은 이득을 준다는 점만은 부인할 수 없다. 자! 그 이유를 살펴보자. 몸은 대내외적 환경에 대항해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능력인 항상성을 갖고 있고 그로 인해 인간은 존재할 수 있다. 인간은 이런 항상성의 근간을 음식으로부터 얻는다. 그런데 인간은 적은 양의 에너지(음식)로 많은 일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된 경이로운 존재다.

문제는 위胃다. 먹거나 마신 음식을 우리 몸은 정교하게 계산된 작업을 하듯 묵묵히 처리해 나간다. 이 과정을 우리는 음식물 대사라 칭한다. 우리 몸은 음식물 속의 영양분을 살뜰히 뽑아내어 생명을 유지하거나 신체를 움직이는 에너지로 활용한다. 이 과정에서 음식물을 저장하는 곳은 바로 ‘위’인데, 이는 필요 이상의 음식이 들어와도 꾸역꾸역 받아들인다. 무언가 담는 용기와 달리 임계점이 어딜까 싶도록 포용력이 상당하다. 마술 주머니처럼 늘어나니 무엇이든 먹어도 되는 것일까. 이 질문의 답은 다음호에서 찾아보자.
박창희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hankookjoa@hanmail.net | 더스쿠프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