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부부 재무설계 中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한국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3대 질병이다. 그런데, 보험 중에는 암 보장이 빠져 있는 경우가 많다. 뇌혈관질환과 심장질환을 보장하는 보험상품도 많지 않다. 많은 사람들이 쓸데 없는 지출에 너무나 많은 돈을 넣고 있다는 얘기다. 더스쿠프(The SCOOP)-한국경제교육원㈜이 보험료에 숨은 불편한 진실을 살펴봤다. ‘실전재테크 Lab’ 18편 두번째 이야기다.

현대인은 학자금대출‧신용카드‧주택담보대출 등 빚을 지기 쉬운 환경에 노출돼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현대인은 학자금대출‧신용카드‧주택담보대출 등 빚을 지기 쉬운 환경에 노출돼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15년째 전세 빌라에서 살고 있는 김선화(가명·41)씨와 박상중(가명·43)씨는 내집 마련의 꿈을 이루기 위해 재무상담을 신청했다. 부부의 월 소득은 425만원(남편 360만원·아내 55만원·육아수당 10만원). 맞벌이 부부치고 소득이 많지 않다. 반면 나가는 돈은 많다. 부부는 소비성지출(374만원), 비정기지출(66만원) 등 한달에 440만원을 쓰고, 월 적자는 15만원에 이른다.

소비성지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 대출 원리금 상환금(월 107만원)이다. 내집 마련을 꿈꾸는 김씨가 아파트 청약을 망설였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대출을 갚다 보니 저축은 꿈도 꾸지 못했고, 목돈이 없으니 청약을 넣는 것도 부담스러웠다. 운 좋게 아파트 청약에 당첨된다 하더라도 계약금으로 낼 돈이 없었다.


소비가 습관인 것처럼 부채도 습관이다. 부채의 중독성이 그만큼 강하다는 얘기다. 더구나 우리는 학자금 대출을 시작으로 신용카드, 주택담보대출 등 다양한 부채를 접하며 살고 있다. 홈쇼핑에선 “월 20만원씩 24개월만 내면 유럽여행을 갈 수 있다”면서 빚을 내라고 광고를 한다. 빚을 지기 쉬운 상황에 노출돼 있는 셈이다.

그렇다고 부채에 무감각해지면 안 된다. 부채에 무뎌지면 소득이 늘어나도 목돈을 모으기 쉽지 않다. 김씨 부부는 전세 비용 문제로 불가피하게 대출을 받아 십수년째 갚고 있다. 이런 대출을 두세번 받다 보면 금세 노후를 맞이하게 마련이다. 부채를 갚을 여력이 있을 때 빨리 갚아야 다른 재무 이벤트를 준비할 여유가 생긴다.

필자는 부부에게 전세자금을 위해 빌렸던 대출금(3200만원)을 우선 변제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빚이 있는 상황에서 또다른 대출을 받아 집을 마련하는 건 소득이 많지 않은 부부에게 리스크로 작용할 게 뻔했기 때문이다. 부부는 내집 마련의 꿈을 잠시 접고 대출 변제를 1차 재무 목표로 삼았다.

지난 1차 상담에서 부부는 생활비에서 5만원을 줄이고 모바일게임에 돈(월 10만원)을 쓰지 않기로 결정했다. 매월 발생하는 적자(15만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지출을 더 줄여도 괜찮겠다고 판단해 2차 상담(9월 11일)에서는 지출을 줄이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먼저 김씨 가족의 보험료(61만원)를 구성원별로 살펴보자. 박씨는 27만원의 종신보험, 김씨는 18만원 종신보험에 가입했다. 첫째와 둘째 앞으로 각각 8만원의 건강보험도 들었다. 가족 대대로 내려오는 질환이 없다면 보험료는 소득의 3~8% 수준을 유지하는 게 일반적이다. 김씨 부부의 보험료 비중은 전체 소득의 14%로 다소 높은 편이다.

한국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병은 암·뇌혈관질환·심장질환이다. 하지만 보험 중에는 암 보장이 빠져있는 경우가 숱하다. 뇌나 심장 관련 보험의 경우엔 발병 요인의 10%에 불과한 뇌출혈·급성심근경색만 보장하는 상품도 많다. 보험회사가 손실을 낮추기 위해 그렇게 상품을 만든 결과인데, 부부가 가입한 종신보험의 문제점도 이와 비슷했다. 사망보험금(2억원)에 암 보장을 제외한 실손특약으로 구성돼 있었기 때문이다. 부부는 종신보험을 건강보험(총 30만원)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다음은 자녀들 보험이다. 부부는 자녀들 보험을 30세 만기로 조정하길 원했다. 자녀들이 성장하면 스스로에게 필요한 보험을 직접 선택하길 바랐기 때문이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두 자녀의 보험료(각각 8만원)는 액수가 너무 컸다. 더구나 자녀들의 보험료 중 적립성 보험금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대출상환이 시급한 상황에서 목적 없이 적립금을 쌓을 필요가 없다. 부부는 적립돼 있던 보험금을 찾고 보험료도 조정했다(각 8만원→4만원)

이렇게 종신보험 해약환금과 자녀들의 적립보험료 반환으로 부부는 총 1170만원을 환급 받았다. 이를 통해 전체 가족보험료는 월 61만원에서 38만원으로 23만원 줄이는 데 성공했다. 보험 환급금 1170만원 중 1115만원은 대출잔액 3200만원을 갚는 데 사용했다. 그 결과, 대출잔액은 320 0만원에서 2085만원으로, 월 대출 상환금은 107만원에서 76만원으로 줄었다.

보험 환급금의 나머지 55만원은 박씨의 휴대전화 할부금을 완납하는 데 썼다. 전체 통신비(17만원) 중 박씨의 통신비만 휴대전화 할부금을 포함해 12만원에 달했기 때문이었다. 박씨는 최신 스마트폰이 출시될 때마다 새 폰을 장만해왔다. 박씨는 “할부 잔액을 지원해준다는 판매 직원 말에 매년 습관적으로 신상 휴대전화를 장만하게 됐다”고 털어놨다.

스마트폰 가격 할인을 더 많이 받기 위해 비싼 요금제도 유지해야만 했다. 박씨는 휴대전화 할부금을 모두 갚고 5만원짜리 요금제로 변경했다. 김씨도 자신의 데이터 사용량에 맞게 요금제를 조절했다(5만원→4만원). 이렇게 통신비는 17만원에서 9만원으로 8만원 줄었다.


이밖에도 부인 김씨의 운동비(5만원→3만원)도 줄였다. 사설 헬스장을 이용하던 김씨는 인근 주민센터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의류·미용비(25만원→20만원)를 줄이는 데는 박씨가 나섰다. 박씨는 매월 5만원을 머리를 염색하는 데 쓴다. 점점 흰머리가 난다는 이유에서였는데, 아이들과 아내의 미용비보다 남편 이발비가 더 들어가는 셈이었다. 박씨는 자신의 용돈에서 이발비를 쓰고, 염색 횟수도 줄이기로 결정했다.

이렇게 부부는 2차 상담에서 소비성지출 64만원(보험료 23만원·대출상환 31만원·통신비 8만원·아내 운동비 2만원), 비정기지출 5만원(의류·미용비)을 줄였다. 이로써 월 15만원의 적자를 기록하던 가계 재정은 69만원의 흑자가계로 탈바꿈했다.

이제 부부가 할 일은 새로 짠 지출계획을 지켜나가는 것이다. 필자는 부부에게 가계부를 쓰라고 조언했다. 자신의 돈이 어떻게 들어오고 나가는지를 보면 돈을 함부로 쓰기 어려워진다. 가계부를 쓰는 게 귀찮다면 카드 결제내역을 자동으로 정리해 주는 모바일 앱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지출을 줄이고 남은 69만원을 어떻게 활용할지는 다음편에서 자세히 다뤄보겠다.
서혁노 한국경제교육원㈜ 원장 shnok@hanmail.net | 더스쿠프 전문기자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