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전기차 충전기

우린 전기차를 맞이할 준비가 돼 있을까. 전기차 충전시설물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으며, 전기차 사용자를 위한 안전제품은 얼마나 마련돼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미흡한 부분이 한두개가 아니다. 지붕이 없는 충전시설물이 수두룩하고, 개발ㆍ보급된 안전제품은 많지 않다. 모두 정부가 해야 할 일이지만 별다른 움직임도 없다. 더스쿠프(The SCOOP)가 지붕 없는 충전기의 뻔한 리스크를 분석했다. 김필수 교수가 의견을 냈다. 

우리나라 정부도 전기차 충전기 관리 예산을 따로 편성해야 한다.[사진=뉴시스]
우리나라 정부도 전기차 충전기 관리 예산을 따로 편성해야 한다.[사진=뉴시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자동차 흐름을 주도하는 아이템 두개를 꼽으라면 자율주행차와 친환경차일 것이다. 친환경차 중 핵심은 뭐니뭐니해도 전기차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프랑스 방문 중 탑승한 수소 연료전지차(현대차)에 관심이 쏟아지고 있지만 갈 길이 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역시 전기차가 주류다. 

그렇다면 전기차의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올해 판매되는 전기차는 2만8000여대다. 내년 예상 책정 보급대수는 3만3000여대(추경예산 포함하면 4만여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기존 문제점으로 꼽혔던 부족한 충전 인프라, 짧은 1회 충전 주행거리도 많이 개선됐다. 

전기차의 무서운 질주

아직은 내연기관차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전기차-내연차의 점유율 싸움은 지금부터라고 할 수 있다. 관건은 전기차가 ‘충전기 약점’을 어떻게 극복하느냐다. 통합충전기가 보급되긴 했지만 충전방식이 세가지라는 점은 소비자에게 거추장스러운 부분이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충전기 설치대수가 가파르게 증가한 것도 중요한 진전이다. 하지만 충전기 관리는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다. 

우선 지붕이 없는 충전기가 숱하게 많다. 우중雨中 감전 위험성이 클 뿐만 아니라 햇빛으로 인해 화면이 보이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충전기 관리가 미흡해 고장나거나 부식이 된 것들도 숱하다. 가령, 울릉도에 설치된 급속 공공용 충전기 중 과반은 고장이 났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은 간단하다. 정부가 충전기 관리예산을 별도로 책정하는 것이다. 우리보다 훨씬 많은 수의 충전기가 설치돼 있는 일본은 충전기 관리예산을 중앙정부에서 책정해 관리한다. 민관 구분 없이 입증만 되면 예산을 지급한다. 이미 설치된 충전불기는 보완 작업을 해야 한다. 앞서 언급했듯 지붕이 없는 충전기는 위험이 상존해 있다. 비가 오는 가운데 운전자가 충전기 케이블을 잡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 이미 폭발 등 여러 차례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전기차 인프라 관련 애프터마켓 전문인력을 하루빨리 육성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전기차 정비요원, 충전기 관리요원, 전기차 배터리 리사이클 전문요원 등을 키우자는 건데, 정부 차원의 움직임은 아직 없다. 아울러 전기차 차주車主를 위한 안전장갑 보급 등도 서둘러야 한다. 

충전기 안전관리 부실

이르면 2019년 말이나 2020년 초 누적 전기차 대수가 1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년 안에 전기차 보조금이 사라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민간 비즈니스 모델도 빠르게 만들어내야 한다. 지금 필요한 건 정부의 발빠른 움직임이다. 충전기 관련 별도 예산의 편성 등을 통해 전기차 이용자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줘야 한다. 이제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다. 이용자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할 때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autoculture@hanmail.net | 더스쿠프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