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The SCOOP) 세꼭지 뉴스
가계대출 차주 DSR 상승
영업적자 기업 수 증가
내년 전망 어두운 국내 제조업

올 2분기 빚을 낸 가계의 총부채원리금상황비율(DSR)이 38.8%를 기록했다.[사진=뉴시스]
올 2분기 빚을 낸 가계의 총부채원리금상황비율(DSR)이 38.8%를 기록했다.[사진=뉴시스]

[시장금리 오르면]
취약차주 직격탄

소득보다 원리금이 더 빠르게 증가하면서 빚을 낸 가계의 상환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2018년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가계대출 차주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38.8 %(올 2분기 기준)를 기록했다. 2012년 34.2% 대비 4.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DSR은 차주가 갚아야 하는 원리금을 연소득으로 나눈 값인데 높을수록 빚 부담이 크다는 의미다.

특히 취약차주의 DSR 수준이 높았다. 취약차주는 3개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이거나 저신용(7~10등급) 차주를 뜻한다. 취약차주의 DSR은 올 2분기 기준 67.6%로 전체 차주의 비율(38.8%)을 약 1.8배 웃돌았다.

시장금리가 오르면 취약차주부터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고금리대출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서다. 실제로 취약차주의 신용대출 비중은 43.0%(올 2분기 기준)로 일반 차주의 비중(23.5%)보다 19.5%포인트 높다. 고금리 비은행권 대출 비중도 65.5%로 일반 차주(41.5%)보다 24.0%포인트나 많다.

원리금 상환액이 연간 소득을 웃도는 잠재 위험 차주의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DSR이 100% 초과하는 가계의 차주 비중은 여전히 고신용(52.9%)·고소득(37.3%)을 중심으로 높은 건 사실이다. 문제는 DSR 100%를 초과하는 차주 중 상대적으로 빚 상환에 취약한 저소득·60대 이상·다중채무자 등의 비중이 높았다는 점이다. 저소득층의 경우 전체 채무자에서 저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19.6%에 불과했지만 DSR 100%를 초과하는 저소득층의 비중은 32.3%에 달했다.

다중채무자 비율도 44.7%로 전체 채무자 중 다중채무자 비율(21.9%)보다 22.8%포인트나 컸다. 보고서는 “DSR이 높은 차주의 채무상환 리스크는 크지 않지만 소득 여건이 악화되고 대출금리 상승, 부동산 시장 위축 시 채무상환 어려움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며 “잠재 위험 가계의 재무상황 변화와 관련 리스크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2018 부실기업]
IMF 기록 넘을까

올해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기업이 1997년 IMF 때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정보 분석업체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매출액 기준 상위 1000개 상장사 중 영업적자를 기록한 업체수는 IMF 때를 웃돌 것으로 보인다.

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한 1997년 상위 1000개(이하 같은 기준) 상장사 중 영업적자를 본 기업은 108곳이었다. 올해는 상반기만 놓고 봤을 때 150개 기업이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지난 2015년과 2016년 상반기 영업적자를 기록한 기업이 각각 106개, 88개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들어 부실기업이 부쩍 늘어난 셈이다.

올해 매출액 상위 1000개 상장사 중 영업적자를 기록한 기업이 부쩍 늘었다.[사진=뉴시스]
올해 매출액 상위 1000개 상장사 중 영업적자를 기록한 기업이 부쩍 늘었다.[사진=뉴시스]

순익 규모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상반기 상위 1000개 상장사의 순익 규모는 62조2000억원, 올해는 65조1000억원이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올린 순익을 제외하면 각각 51조2000억원, 48조6000억원으로 뒤집힌다.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반도체 호황의 수혜를 본 관련 기업들의 순익을 제외하면 이런 양상은 더욱 심각해질 공산이 크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올해 국내 상장사 중 영업적자를 본 곳이 지난해보다 확연히 늘었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을 제외하면 이익 규모도 크게 줄었다”면서 “상당수의 중견·중소기업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기 체감 온도가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2019년의 지표는 올해보다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반중 분위기에]
제조업 ‘빨간불’

국내 제조업 영업이익이 내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과의 경쟁이 심화되고, 반도체 등 특정산업 의존도가 높다는 게 이유다. 지난 20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2019년 산업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주완 연구위원은 “2011년 고점을 찍은 국내 제조업 가동률이 이후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는데다 생산능력도 확대되지 않고 있다”며 “내년 제조업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2.7%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이 연구위원은 “침체기에 진입한 건 맞지만 위기를 거론할 수준은 아니다”고 말했다.

내년 제조업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2.7% 감소할 거란 전망이 나왔다.[사진=뉴시스]
내년 제조업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2.7% 감소할 거란 전망이 나왔다.[사진=뉴시스]

문제는 중국에 주요 산업의 시장점유율을 추월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와 휴대전화 분야에서선 이미 중국에 추월당했다. 주력 수출품 중 하나인 반도체도 5년 뒤 중국과의 격차는 더 좁혀질 전망이다. 반도체·석유화학 등 특정산업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점도 발목을 잡을 공산이 크다.

국내 제조업 전체이익에서 반도체와 석유화학 비중은 과거 40%에서 최근 60% 수준까지 치솟았다. 이 연구위원은 “두가지 요인은 앞으로도 한국경제를 짓누르는 위험요소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구소는 반도체·디스플레이·통신 등 주요산업의 설비투자와 수출 증가율도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