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헬스트레이너 재무설계

“나는 자영업자나 다름없다.” 기본급 150만원에 매달 인센티브를 받는 박훈성(30ㆍ가명)씨는 하소연했다. 경기에 따라 급여가 들쭉날쭉해 큰돈을 모으기가 쉽지 않다는 한탄이었다. 불규칙한 급여 탓에 지출을 통제하는 게 여간 어렵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실 프리랜서가 지출을 컨트롤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월평균 급여 안에서 지출 포트폴리오를 짜는 것이다. 박씨에게도 적용해봤다.

급여가 불규칙적이라면 평균 급여를 책정하고, 그에 맞게 소비해야 한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급여가 불규칙적이라면 평균 급여를 책정하고, 그에 맞게 소비해야 한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열심히 일한 만큼 보상을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도는 직원들의 근무 의지를 높이고 조직 내 건전한 긴장감을 만든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매달 꾸준히 좋은 실적을 내기는 쉽지 않다. 인센티브 급여를 받는 직장인들이 들쭉날쭉한 급여 탓에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다.

경기도에서 헬스 트레이너로 근무하는 박훈성(30 · 가명)씨도 불규칙한 급여 때문에 애를 먹고 있다. 박씨는 기본금 150만원에 회원 개별 강습에 따른 인센티브를 매달 100만~150만원씩 받고 있다. 요즘처럼 연초에는 ‘운동’을 새해 목표로 삼은 사람들이 헬스장을 많이 찾는다. 당연히 박씨의 벌이도 좋아진다. 하지만 비수기도 존재하는 탓에 평균 월급은 250만원가량이다. 박씨는 “급여가 불규칙적인데 자칫 여기저기에 투자했다가 납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까봐 이렇다 할 자산관리를 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그나마 안정적으로 돈을 모을 수 있는 적금에 올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씨의 말처럼 적금은 안정적이다. 원금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데다 적은 금액이더라도 이자가 지속적으로 붙기 때문이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적금은 사실상 마이너스 투자에 가깝다. 이자율이 물가상승률에 못 미칠 가능성이 높아서다. 그럼에도 투자보다 적금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 자칫 잘못 투자했다가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투자를 해본 적 없는 젊은 세대는 주위에서 만류하거나 겁을 주는 탓에 투자상품을 멀리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Q1 지출구조

트레이너 경력 6년차인 박씨의 월평균 급여는 250만원이다. 박씨의 씀씀이는 또래 직장인에 비해 알뜰한 편이었다. 소비성지출은 통신비 3만원, 식비 20만원, 부모님용돈 30만원, 교통비 5만원, 친목교제비 10만원, 데이트비용 30만원 등 98만원을 쓰고 있다. 여기에 쇼핑비ㆍ휴가비ㆍ명절비ㆍ경조사비 등 비정기지출은 연간 200만원이었다. 월 평균 17만원으로 소비성지출은 총 115만원인 셈이다.

금융상품은 단출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10만원, 제1금융권 적금에 100만원을 납입하고 있었다. 여기에 보장성보험 12만원, 변액종신보험 20만원 등 142만원을 사용하고 있었다. 평균 급여보다 7만원가량 초과지출 하는 셈이다. 여자친구와 2년째 교제 중인 박씨는 1년 후 결혼을 계획하고 있다. 5년 후에는 직접 헬스 센터를 운영하고자 한다.

Q2 문제점

박씨의 첫번째 문제점은 월평균 소득보다 초과 지출하는 달이 많다는 점이다. 월평균 급여 250만원에 맞춰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짤 필요가 있었다. 결혼 후 불어날 생활비 마련을 위한 준비도 부족했다. 결혼과 주택마련 등을 위해 매달 100만원씩 적금에 붓고 있었지만 이자율이 낮은 제1금융권 상품에 국한돼 있었다. 원금 손실을 우려해 투자 상품에 전혀 가입하지 않았다는 점도 아쉬운 점이었다. 과도하게 납입하고 있는 주택청약종합저축이나 변액종신보험도 금액도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Q3 해결점

박씨 가계부의 첫번째 솔루션은 월평균 급여 250만원 범위 내에서 포트폴리오를 꾸리는 것이다. 250만원 이상 버는 달에는 잉여자금을 모아 단기안전자산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먼저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신혼희망타운 입주를 위해 최저 납입금액인 2만원(10만원→2만원)으로 낮췄다. 주택청약종합저축에 따른 묶여 있는 자금 규모를 줄이기 위해서였다. 민영주택 분양을 신청할 때를 대비하자(일시금 부족)는 취지도 있었다.

월 12만원을 납입하는 보장성보험도 줄였다. 3대 질병 진단비, 수술비 지급 규모가 작은 데다, 보장항목도 적었기 때문이었다. 대신 보장항목이 다양하고, 납입금 부담은 적은 무해지환급형 상품(월 9만원 납입)으로 전환해 매달 3만원을 절약했다. 지인 권유로 가입해 매달 20만원씩 납입하던 변액종신보험은 해지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납입금 부담이 커지는 갱신형일 뿐만 아니라 사망보험금 규모도 정기보험과 비교했을 때 턱없이 작았다.

마지막으로 시중은행에 가입한 적금(100만원)은 일단 해지했다. 장기적으로 물가상승률이나 화폐가치 하락을 고려했을 때 마이너스 투자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절약한 131만원 중에서 초과지출 7만원을 제외한 124만원으로 포트폴리오를 다시 짰다.

먼저 결혼 후 늘어날 생활비를 모으기 위해 매달 70만원씩 적금에 붓기로 했다. 제1금융권 상품보다는 금리가 높은 상호저축은행 상품에 가입했다. 투자 거부감을 줄여나가기 위해 30만원씩 적립식펀드에 투자했다. 추후에 헬스센터를 건립할 종잣돈 용도다. 노후자금을 쌓아나가기 위해 20만원씩 실적배당형연금에 투자하기로 했다.

비상금 용도로 CMA에 4만원씩 모으도록 했다. 박씨의 사례처럼 급여가 들쭉날쭉한 프리랜서에게 가장 필요한 건 그에 걸맞은 포트폴리오를 짜는 것이다. 급여가 일정하지 않다고 지출까지 제멋대로여선 곤란하다는 얘기다.
강수현 한국경제교육원㈜ 수석연구원 koreaifa@daum.net |더스쿠프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