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 낮은 수치 아니야
침체라는 단어도 조심해야
잠재성장률 하락속도 빨라
한국경제 미래 어둡다는 얘기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7%를 기록했다. 2012년 이후 6년 만에 최저치다. 시장에선 이를 두고 경기침체의 증거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쪽에서 과도한 우려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문제가 있다. 국가 경제의 생명력인 잠재성장률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눈앞의 경기둔화도 문제지만 미래의 침체 가능성도 문제라는 얘기다. 더스쿠프(The SCOOP)가 프레임 논쟁에 갇힌 한국경제의 현주소를 냉정하게 분석했다.

한국 경제가 지난해 2.7%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했다.[사진=뉴시스]
한국 경제가 지난해 2.7%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했다.[사진=뉴시스]

2.7%.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다. 최근 이 숫자를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한국경제가 침체에 빠졌다는 주장과 경기침체라는 지적은 과도하다는 의견이다. 우선 지표를 살펴보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GDP는 전기 대비 1.0%(전년 동기 대비 3.1%) 성장했다. 그 결과 지난해 GDP 성장률은 2.7%를 달성했다. 2012년 2.3% 이후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셈이다. 

하지만 경기침체라는 꼬리표를 붙이는 건 과도하다는 지적이다. 수치상으로는 역대 두번째 최장기 호황을 맞으며 지난해 ‘나홀로 경기호황’을 누린 미국(전망치)과 0.2%포인트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경기회복으로 일할 사람이 부족하다는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는 일본(0.9%), 유로존 경제 대국인 독일(1.5%)보다도 각각 1.8%포인트, 1.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국내 GDP 성장률이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은 맞지만 다른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절대 낮은 수준이 아니라는 얘기다. 김유겸 케이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경기침체는 경제성장률이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을 때”라며 “국내 경기가 둔화세를 보이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침체라고 할 정도는 아니다”고 분석했다. 

정부의 재정을 풀어 경기를 받쳤다는 비판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2.2% 기록하며 역성장한 수출을 대신한 것이 정부지출이었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부진했던 수출의 공백을 정부 지출로 메웠다는 얘기다. 하지만 경기가 둔화하는 시기에 재정을 투입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 회복을 위해 미국유로존일본 등의 선진국이 천문학적인 자금을 투입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오히려 걱정해야 할 것은 잠재성장률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15년 3.66%였던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025년 2.64%로 1.02%포인트나 떨어질 전망이다. 같은 기간 미국(2.34%→2.39%),일본(0.81%→1.23%), 프랑스(1.55%→2.47%)등으로 높아진 것과는 대조적이다. 

하락세를 기록하는 독일(1.24%→1.0%), 캐나다(2.12%→2.09%) 등과 비교해도 잠재성장률이 하락 속도는 매우 빠르다. 잠재성장률은 생산 요소(자원노동자본 등)를 사용해 성장할 수 있는 최대 성장률이다. 잠재성장률은 하락은 생명력을 잃어가고 있는 국가 경제가 보는 ‘경고음’이라는 얘기다. 성태윤 연세대(경제학) 교수는 “산업 경쟁력 둔화와 노령화 등 잠재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기업의 생산성 향상, 산업 구조개혁 등을 통해 경제의 체질을 바꿔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