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정말 뜰까

지난 1월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당연히 수소차가 로드맵의 중심에 섰고, 수소차 보급지원책, 인프라 확충계획 등이 줄줄이 쏟아졌다. “수소차 시대가 개막했다”는 장밋빛 전망이 쏟아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우려를 품고 있는 시장 관계자들도 적지 않다. 수소차의 난제가 수두룩하기 때문이다. 더스쿠프(The SCOOP)가 수소경제의 미래를 짚어봤다. 

“충전소를 늘려야 차가 다닐 것 아닌가.” 그동안 인프라(수소충전소) 부족은 수소자동차 시장의 발목을 잡는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그런 만큼 “수소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수소충전소를 적극적으로 설치하겠다(1월 18일)”는 정부의 발표는 이목을 끌기 충분했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정부는 올 2월 현재 11개(일반인 충전 가능 기준)에 불과한 수소충전소를 2040년까지 1200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수소차 누적보급대수도 약 2000대(2018년 기준)에서 620만대(내수 290만대ㆍ수출 330만대)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업계 안팎에서 “수소차 시대가 개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장밋빛 전망이 현실이 되기까지는 숱한 난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수소충전소 개수를 늘리는 게 말처럼 쉽지 않아서다. 수소융합얼라이언스 추진단에 따르면 수소충전소 1곳을 짓는 비용은 26억~31억원이다. 정부의 로드맵대로 1189곳을 더 지으려면 3조원 이상이 필요하다. 

 

전기차충전소의 한계가 되풀이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전국 전기차충전소는 9387곳으로 주유소 개수(약 1만2000곳)의 78%에 이른다. 그럼에도 전기차충전소가 외진 곳에 있거나, 급속충전이 안 된다며 충전소를 더 지으라는 불만이 적지 않다. 

또 다른 난제는 수소차의 주행거리ㆍ가격ㆍ연료효율ㆍ성능 등이 전기차보다 부족하다는 점이다. 류연화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대규모 수소 공급 인프라를 깔아도 차 자체의 근원적인 약점 때문에 수소차가 신산업으로 발전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꼬집었다. 샴페인을 터뜨리기엔 갈길이 너무 멀다는 얘기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