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카 | 규제 꼬리표 뗄까

쏘카는 초단기렌터카라는 꼬리표를 떼고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자로서 거듭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야심찬 포부를 밀어붙이기엔 현실이 녹록지 않다. 법은 쏘카를 렌터카업체로 못 박았고, 새 서비스 ‘타다’는 택시업계와 갈등을 빚고 있다. 더스쿠프(The SCOOP)가 쏘카의 현주소와 미래를 취재했다. 

쏘카는 카셰어링 업체를 넘어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쏘카는 카셰어링 업체를 넘어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카셰어링 업체 쏘카가 쾌속질주하고 있다. 설립한 지 7년여 만에 회원 수는 450만명을 돌파했고, 보유차량 대수는 1만1000대를 넘어섰다. 쏘카보다 2년가량 앞서 출범한 그린카의 회원 수와 보유차량 대수가 각각 300만명, 6500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성장속도가 꽤 빠르다. 이런 성장세에 힘입어 최근엔 기업가치도 7000억원가량으로 껑충 뛰었다. 2015년 평가액이었던 3000억원을 2배 이상 웃도는 수준이다.

쏘카는 멈추지 않고 최근 새로운 도약대에 다시 섰다. 카셰어링에 머무르지 않고 모빌리티 전반을 아우르는 플랫폼 업체로 거듭나겠다는 거다. 지난해 4월 이재웅 대표가 쏘카에 부임한 이후 생긴 변화다.

이 대표는 회사 내부에서도 렌털사업이라는 말을 쓰지 않도록 강조할 만큼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서의 도약을 중요시 여기고 있다. 쏘카가 지난해 10월 자회사 VCNC를 통해 승합차를 이용한 차량공유 서비스 ‘타다’를 출시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대표의 포부와는 달리 쏘카가 ‘초단기렌터카’라는 꼬리표를 떼어내긴 쉽지 않아 보인다.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을 적용받는 쏘카는 렌터카 사업모델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걸림돌이 되는 조항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대여업을 하기 위해선 일정 수의 자동차와 일정 면적의 차고가 있어야 한다.”

 

이 조항에 따라 쏘카는 두가지 문제에 직면한다. 첫째는 차고지다. 쏘카는 렌터카와 마찬가지로 대여ㆍ반납을 지정된 차고지(쏘카존)에 해야 한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능한 많은 차고지를 확보하고 있지만, 그만큼 비용 부담도 만만치 않을 공산이 크다. 최근 정부가 “세종ㆍ부산 등 일부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차고지 규제를 완화한다”고 발표한 건 긍정적인 소식이지만 어디까지 확대될 지는 미지수다.

둘째는 개인 간 공유(P2P)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쏘카가 차량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무조건 차량을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는 쏘카가 렌털사업 외 모빌리티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쏘카 관계자는 “무작정 규제를 풀어달라는 게 아니라 신산업에 맞는 새로운 기준을 세워달라는 것”이라면서 “이는 모빌리티 시장 자체를 넓히는 데도 톡톡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준영 더스쿠프 기자 shamandn2@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